어르신 종합대책 발표
50대후반 ‘신노년층’까지 포괄
자치구별 지원센터 설치하고
전문직 출신 인재은행 운영해
2015년까지 6만3천개 일자리 확보
50대후반 ‘신노년층’까지 포괄
자치구별 지원센터 설치하고
전문직 출신 인재은행 운영해
2015년까지 6만3천개 일자리 확보
서울시가 현직에서 은퇴했거나 은퇴를 앞둔 50대 후반의 ‘신노년층’을 새로 정책 대상으로 포괄한 ‘어르신 종합대책’을 30일 내놨다. 65살 이상 노인만을 대상으로 하는 기존 정책이 이들을 사각지대로 내몬다고 보고, 재취업이나 사회공헌 등 ‘인생 이모작’을 지원하는 기관을 만들기로 했다.
이날 시청 브리핑실에서 종합대책을 발표한 박원순 시장은 “매년 5만~6만명이 어르신 인구에 유입된다”며 “대규모 시설을 짓기보다 기존 자원을 공유·연계해 어르신 복지의 새 패러다임을 만들겠다”고 밝혔다. 시는 지난 9월부터 65살 이상 인구를 지칭하는 행정용어인 ‘노인’을 ‘어르신’으로 바꿔 쓰고 있다.
시는 우선 은평구 녹번동 옛 국립보건원 안에 ‘서울 인생이모작 지원센터’를 새달 설립한다. 센터는 퇴직을 했거나 준비중인 ‘베이비붐’ 세대와 예비 어르신 240만명이 재취업이나 사회공헌활동을 할 수 있게 돕는 구실을 한다. 중장기적으로 자치구마다 1개씩 설치할 계획이다. 시 관계자는 “끊어진 인간관계를 복원하고 맞춤형 일자리 정보를 얻는 등 도움을 받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시는 또 은퇴자 중 전문직 종사자 500명의 인재은행을 구축해 각종 사회공헌활동을 주선하고, 은퇴자들의 사회활동과 교류를 위한 노년단체를 육성하기로 했다. 아울러 ‘문화재 지킴이’나 노인이 노인을 돌보는 ‘노노케어’ 등 공공 일자리를 늘리고 지하철 택배나 육아, 도시락 배달, 세탁장 등 사회적기업 형태의 어르신 일자리를 발굴하는 ‘시니어 클럽’을 확대하는 등 6만3000개의 일자리를 2015년까지 확보하겠다고 밝혔다.
이밖에 독거어르신 관련 전산정보를 통합하고, 어르신돌봄지원센터를 구마다 1곳씩 설치하기로 했다. 어르신복지센터나 노인요양시설을 늘리고 공동식당과 세탁 서비스 등을 지원하는 ‘어르신 하숙집’ 등의 새로운 주택유형도 개발한다. 시는 이를 위해 2015년까지 국비 858억원을 포함해 모두 2847억원을 투자할 계획이다. 이를 통해 어르신 취업률은 지난해 말 22.5%에서 2015년 30%로, 복지시설 이용률은 15.5%에서 17%로 높이는 것이 목표다. 시는 또 10만명당 64.4명인 어르신 자살률은 58.4명 수준으로 낮추겠다고 밝혔다.
박기용 기자 xeno@hani.co.kr
<한겨레 인기기사>
■ 애틀랜틱 물바다…“카트리나 악몽 연상”
■ 건설노동자 “해군기지 부실공사” 폭로
■ 프로포폴 ‘덫’에 빠져…
■ ‘철탑농성’ 아랑곳 없이…현대차 ‘사내하청 대상 신규채용’ 강행
■ ‘장교 성매수 은폐’ 기무사령관에 면죄부
■ 투수 옆에, 외야에…포스트시즌 가상광고, 넌 얼마니?
■ [화보] 이번 경기는 ‘우리 힘 한데 모아’ 입니다
■ 애틀랜틱 물바다…“카트리나 악몽 연상”
■ 건설노동자 “해군기지 부실공사” 폭로
■ 프로포폴 ‘덫’에 빠져…
■ ‘철탑농성’ 아랑곳 없이…현대차 ‘사내하청 대상 신규채용’ 강행
■ ‘장교 성매수 은폐’ 기무사령관에 면죄부
■ 투수 옆에, 외야에…포스트시즌 가상광고, 넌 얼마니?
■ [화보] 이번 경기는 ‘우리 힘 한데 모아’ 입니다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