울산 북구, 836명 설문조사
현대자동차와 관련 부품업체 등 울산 북구지역 기업체의 퇴직(예정)자 대다수가 퇴직 후 노후대책을 세우지 못해 계속 일하기를 희망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울산 북구는 최근 이성균 울산대 교수(사회과학부)와 산학협력단에 의뢰해 퇴직(예정)자 836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했더니 퇴직 후 노후대책을 6.8%만이 ‘구체적으로 세워놓았다’고 답했다고 13일 밝혔다. ‘대략적인 계획을 세워놓고 있다’도 33.7%에 그쳤고, 41.4%는 ‘막연하게 무엇을 할지 생각뿐이다’, 17.6%는 ‘아무런 계획이 없다’고 응답했다.
전체 응답자의 73.1%(611명)는 퇴직 후에도 일하기를 희망했다. 퇴직 후 하고 싶은 일로 46.8%는 재취업, 20.3%는 귀농 및 전원생활을 원했다. 또 계속 일하기를 희망하는 사람의 83.6%는 ‘일자리가 있다면 중소기업이라도’, 79.5%는 ‘임금이 낮더라도’, 68.5%는 ‘원하는 직종이 아니라도’ 취업할 것에 긍정적으로 답했다.
이들이 바라는 퇴직 후 일자리 급여는 월 200만~249만원이 32.9%로 가장 많았고, 150만~199만원이 25.5%로 뒤를 이었다. 평균은 189만원으로 나타났다. 다시 일하기를 희망하는 시기는 ‘퇴직과 동시’가 44.7%로 가장 많았고 ‘퇴직 6개월 후’가 28.3%로 뒤를 이었다.
전체 조사 대상자들은 퇴직(예정)자 지원 프로그램으로 ‘건강 및 법규 등 생활 관련 프로그램’(73.3%)을 가장 선호했고, 다음으로 ‘퇴직 후 적응 및 심리안정 프로그램’(67.5%)과 ‘재취업·전직 지원 프로그램’(65.6%)을 선호했다.
이성균 교수는 “중소기업이나 비정규직 퇴직(예정)자에게 차별 없고 퇴직자 개인의 경력 및 특성을 반영한 지원 프로그램 운영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신동명 기자 tms13@hani.co.kr
<한겨레 인기기사>
■ 단란주점 인수갈등…전 업주 벽에 콘트리트 암매장
■ 단일화 경쟁력, 문재인이 안철수 역전
■ 외신기자가 본 문재인과 박근혜의 차이는?
■ 시형씨땅 국가가 사들였으니모든 것이 원상회복 되었다?
■ 이보다 찌질할 순 없다…말년병장 ‘포복절도’ 군생활기
■ “8년간 게임폐인으로 살면서 젊은 세대와 통했죠”
■ 검찰, 정수장학회 보도경위 캔다며…한겨레 기자 집 기습 압수수색
■ 단란주점 인수갈등…전 업주 벽에 콘트리트 암매장
■ 단일화 경쟁력, 문재인이 안철수 역전
■ 외신기자가 본 문재인과 박근혜의 차이는?
■ 시형씨땅 국가가 사들였으니모든 것이 원상회복 되었다?
■ 이보다 찌질할 순 없다…말년병장 ‘포복절도’ 군생활기
■ “8년간 게임폐인으로 살면서 젊은 세대와 통했죠”
■ 검찰, 정수장학회 보도경위 캔다며…한겨레 기자 집 기습 압수수색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