쇼핑강요·무자격 안내원 고용해도
도, 관광객수에 따라서 지원금 줘
안동우 의원 “관광정책 전환 필요”
도, 관광객수에 따라서 지원금 줘
안동우 의원 “관광정책 전환 필요”
제주도가 무자격 관광통역안내원을 고용하거나 질 낮은 저가 관광상품을 판매하는 여행업체에 인센티브 지원을 해온 것으로 밝혀졌다.
제주도의회 문화관광위원회 안동우 위원장은 20일 제주도가 위법 여행사를 지원하면서 스스로 값싼 관광지 낙인을 찍고 있다고 지적했다. 안 의원의 말을 종합하면, 제주도는 외국인 관광객 유치를 위해 직항노선 인센티브 지원의 경우 2009년 11억8000만원, 2010년 15억8000만원, 2011년 13억6000만원에 이어 올해는 9억1000만원으로 모두 50억4200만원을 지원했다. 또 내국인 관광객 유치 인센티브에 7억5000만원, 외국인 관광객 유치 인센티브에 3억6000만원 등도 지원했다.
그러나 인센티브 지원 여행사 가운데 일부는 무료 관광지 관람 및 쇼핑 강매, 질 낮은 음식으로 제주여행 상품을 구성해 오히려 제주관광 이미지를 흐리는 업체도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실제로 중국인 관광객을 유치하는 한 여행사의 2899위안(50만원)짜리 제주여행 상품(4박5일)은 쇼핑점 방문만 5곳이고 유료 사설 관광지 방문은 2~3곳뿐이었다. 나머지는 대부분 옵션관광이나 무료 관광지로 채워졌다. 관광객들은 첫날 새벽 2시 제주국제공항에 도착하면 곧바로 사우나로 가서 4시간 남짓 보낸 뒤 아침 식사는 각자 해결하는 것으로 제주 여행의 일정을 시작하는 것으로 돼 있다. 식사는 1인당 4000~6000원짜리로 빈약했다. 또다른 여행사의 2580위안(45만원)짜리 여행상품(3박4일)도 신비의 도로, 성읍민속마을, 서복전시관, 월드컵경기장, 외돌개, 해수욕장, 약천사 등 무료 관광지 일색으로 채워졌다.
이와 함께 제주도가 지난해부터 지금까지 무자격 관광통역안내원을 고용했다가 적발된 19개 여행사에 3억5700만원을 지원한 것으로 밝혀졌다. 특히 5차례나 적발돼 사업정지를 받았던 여행사에 지원된 인센티브 금액만도 2억2700만원에 이르렀다.
안동우 위원장은 “중국인 관광객을 대상으로 ‘싸구려 여행상품’을 팔아 제주관광에 먹칠하고 있는 업체에 수억원의 인센티브를 제공하는 것은 있을 수 없다. 관광객 수에 따라 인센티브를 지원하는 제주도의 관광정책의 일대 전환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한동주 제주도 문화관광스포츠국장은 “초저가 상품을 판매하는 여행업체에 대해서는 실태를 확인해서 인센티브 대상에서 제외하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허호준 기자 hojoon@hani.co.kr
<한겨레 인기기사>
■ ‘고준위 핵폐기물’ 차기정부에 떠넘기는 MB정부
■ 박근혜 단독 TV 토론에 누리꾼 “브라우니랑 어울릴 듯 ”
■ ‘저녁 8시 뉴스’ 경쟁…MBC 7%-SBS 14%
■ “출연료도 안주는 방송사…한류시대에 창피”
■ ‘참이슬’ 200억병 팔았다
■ “연내 미분양 털자” 건설사들 파격조건 ‘봇물’
■ [화보] 삼성가 장손 ‘뒷문 참배’ 못해?…추모식 불참
■ ‘고준위 핵폐기물’ 차기정부에 떠넘기는 MB정부
■ 박근혜 단독 TV 토론에 누리꾼 “브라우니랑 어울릴 듯 ”
■ ‘저녁 8시 뉴스’ 경쟁…MBC 7%-SBS 14%
■ “출연료도 안주는 방송사…한류시대에 창피”
■ ‘참이슬’ 200억병 팔았다
■ “연내 미분양 털자” 건설사들 파격조건 ‘봇물’
■ [화보] 삼성가 장손 ‘뒷문 참배’ 못해?…추모식 불참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