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선후보들 재추진 의사에
민영화로 활로찾기 ‘먹구름’
수요·정부투자 줄까 속앓이
민영화로 활로찾기 ‘먹구름’
수요·정부투자 줄까 속앓이
대통령 선거 후보들이 동남권 신공항 재추진 카드를 꺼내 들면서 민영화 등을 통해 활로를 찾던 청주공항(사진)에 먹구름이 드리우고 있다. 경남 밀양, 부산 가덕도 등을 후보지로 놓고 타당성 검토를 했던 동남권 신공항은 지난해 3월 국토해양부가 공식적으로 추진계획을 접으면서 수면 아래로 가라앉았다.
정부의 포기로 추락했던 신공항은 대선과 함께 부활했다. 대선 유력 후보인 박근혜(새누리당), 문재인(민주통합당), 안철수(무소속) 후보 등이 해당 지역을 방문해 신공항 재추진을 기정사실화하고 있다. 부산에서는 지난 16일 여야 정치권은 물론 시민단체까지 나서 신공항 건설을 대선 공약으로 채택해달라는 뜻에서 촛불집회를 열기도 했다.
동남권 신공항 바람은 청주공항의 미래를 안갯속으로 몰아넣고 있다. 2009년 3월 전국 지방공항 가운데 유일하게 민영화 대상 공항으로 뽑혀 운영권 매각을 추진해 왔던 청주공항은 그동안 부활의 날갯짓을 해왔다. 국제노선 확대를 위한 활주로 연장, 북쪽 진입로 개설, 항공정비산업 유치 등을 역점 사업으로 추진해왔다. 충북도와 청주시, 청원군은 지난 8일 공항이 민영화되면 지분 5%(충북 3%·8억4천여만원, 청주 1%·2억8천여만원, 청원 1%·2억8천여만원)를 매입하기로 결정했으며, 충북도는 세종시, 대전·충남 등 충청권 자치단체와 ‘청주공항 활주로 확장 공동 협력서’를 교환하는 등 공항 활성화에 공을 들여왔다.
김우종 충북도 문화관광환경국장은 “동남권 신공항 재추진은 중부권 대표 공항으로 발돋움하려는 청주공항에 상당한 악재다. 공항 수요는 물론 국가 차원의 공항 투자가 줄면 중간에 낀 청주공항은 큰 타격을 입을 수밖에 없을 것”이라고 말했다.
청주공항 민영화도 난기류를 만났다. 지난달 국정감사에서 이미경(민주통합당) 의원은 “청주공항 민영화 사업자로 선정된 청주공항관리㈜는 9월 말까지 자본금이 32억원이다. 제때에 청주공항 매입자금을 조달할지 걱정”이라고 지적하기도 하는 등 잡음이 있어온 터라 부담이 커지고 있다.
박동규 운영이사는 “공항이 또다시 정치적 산물이 돼 안타깝다. 내년 1월 중순까지 매입자금을 마련해 예정대로 민영화를 추진하겠지만, 정부가 남부권 신공항 때문에 민영화 조건으로 제시했던 공항 투자 약속을 이행하지 않거나 미룬다면 외부 민간 자금도 투자를 꺼릴 수 있어 전체적으로 민영화가 제 궤도에 오르지 못할 수 있다”고 말했다.
오윤주 기자 sting@hani.co.kr, 사진 충북도 제공
<한겨레 인기기사>
■ ‘고준위 핵폐기물’ 차기정부에 떠넘기는 MB정부
■ 담배는 편의점이 파는데…담배광고료는 본사가 ‘꿀꺽’
■ 유인원도 ‘중년의 위기’ 겪는다
■ 검찰이 사전에 ‘떡검’ 못거르는 이유는?
■ ‘참이슬’ 200억병 팔았다
■ “연내 미분양 털자” 건설사들 파격조건 ‘봇물’
■ [화보] 삼성가 장손 ‘뒷문 참배’ 못해?…추모식 불참
■ ‘고준위 핵폐기물’ 차기정부에 떠넘기는 MB정부
■ 담배는 편의점이 파는데…담배광고료는 본사가 ‘꿀꺽’
■ 유인원도 ‘중년의 위기’ 겪는다
■ 검찰이 사전에 ‘떡검’ 못거르는 이유는?
■ ‘참이슬’ 200억병 팔았다
■ “연내 미분양 털자” 건설사들 파격조건 ‘봇물’
■ [화보] 삼성가 장손 ‘뒷문 참배’ 못해?…추모식 불참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