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다수 일 수출·미 호접란 농장 등
졸속추진 사업들 엎어지고 적자
도의회 행정감사서 비판 쏟아져
졸속추진 사업들 엎어지고 적자
도의회 행정감사서 비판 쏟아져
지방공기업인 제주도개발공사가 하는 사업마다 헛발질을 하거나 할 우려를 낳고 있다. 제주도의회 환경도시위원회(위원장 하민철)가 22일 제주도개발공사를 상대로 벌인 행정사무감사에서 제주도개발공사가 추진해온 삼다수의 일본 수출과 미국에 있는 호접란 농장, 제주맥주 사업 등에 대한 비판이 쏟아졌다.
김명만 의원은 먼저 삼다수의 일본 수출 문제를 거론했다. 개발공사는 지난해 11월 시민단체와 도의회 문제제기에도 불구하고 유통 실적이 전혀 없는 인터넷 보안솔루션 업체와 수출계약을 맺었다가 수출 실적이 없자 21일 계약을 해지했다.
김 의원은 “지난해 11월 도의회에서 많은 문제점을 제기했는데도 수출계약을 체결한 이유를 알 수 없다”고 말했다. 하민철 위원장도 “이 업체가 어떤 회사인지 알고 있었는데도 뜬금없이 계약을 맺은 이유가 뭐냐”고 따졌다. 개발공사는 최근 제주도 내 삼다수 유통권을 가진 대리점업체들의 도외 반출로 인해 경찰의 수사를 받고 있다. 경찰은 그동안 개발공사와 개발공사 간부들에 대해 압수수색과 소환조사를 벌여왔으며, 수사가 끝나는 대로 발표할 예정이다.
미국 로스앤젤레스에 있는 호접란 농장도 도마에 올랐다. 앞서 개발공사는 지난해 8월 미국 현지 도매업체를 상대로 호접란 판매대금 가운데 미수금 1억원을 돌려달라는 소송을 제기했으나 패소해 변호사 비용과 손해배상금 및 소송 경비, 법정 경비 등 15억여원이 들어갔다. 개발공사는 지난 5일 공고를 통해 매각절차를 밟고 있다.
신관홍 의원은 “2006년 12월 도정질문 당시 호접란 사업에 대한 문제점을 지적하고 매각하는 방안을 마련하도록 권고했으나, 지금까지 6년을 끌고 오면서 막대한 적자만 남긴 것은 개발공사만이 아니라 제주도정이 무능한 탓”이라고 비판했다.
제주맥주 사업을 개발공사가 떠맡은 것도 문제가 됐다. 개발공사는 제주도가 지난해와 올해 세차례 공모한 제주맥주 사업 참여자가 없어 무산되자 이를 떠맡았다. 개발공사는 사업 타당성 연구를 통해 연간 100㎘의 소규모 맥주 제조사업으로 운영하면 연간 5억원의 소득 증대와 25명의 일자리를 창출할 수 있을 것으로 내다봤다.
이에 대해 신관홍 의원은 “보리 재배농가에 연간 44억원도 아닌 4400만원이 돌아가는 사업을 제주농업 보호 및 지역경제 활성화를 위해 추진하겠다고 하고 있다. 지난해부터 맥주사업 추진을 위해 28억8000만원이 투자됐다. 이러다가 제2의 호접란 사업이 될 게 아니냐”고 말했다. 허호준 기자 hojoon@hani.co.kr
<한겨레 인기기사>
■ 문재인-안철수 TV토론 누가 이겼나 보니…
■ 파워트위터가 본 문·안 토론 “이렇게 점잖은 토론은 처음 본다”
■ 문·안 ‘단일화 TV토론’ 못봤다면…토론 전문보면 되고
■ 봉중근, 어깨 부상으로 WBC 불참
■ 히잡 벗고 ‘반란’…시리아 여성인권 논쟁
■ 큰스님도 카사노바도 즐기던 ‘통영의 맛’
■ [화보]안후보님, 뭐라고요? 궁금한 표정 문재인
■ 문재인-안철수 TV토론 누가 이겼나 보니…
■ 파워트위터가 본 문·안 토론 “이렇게 점잖은 토론은 처음 본다”
■ 문·안 ‘단일화 TV토론’ 못봤다면…토론 전문보면 되고
■ 봉중근, 어깨 부상으로 WBC 불참
■ 히잡 벗고 ‘반란’…시리아 여성인권 논쟁
■ 큰스님도 카사노바도 즐기던 ‘통영의 맛’
■ [화보]안후보님, 뭐라고요? 궁금한 표정 문재인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