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북 민노총, 도청앞서 촉구 시위
노동자 산재율 전국 최고인데도
산재인정 받을곳 없어 타지 전전
노동자 산재율 전국 최고인데도
산재인정 받을곳 없어 타지 전전
전국민주노동조합총연맹 전북본부가 노동자 건강권을 보장받을 수 있도록 전북 전주의 대학병원에 산업의학과 설치를 촉구하고 나섰다.
22일 민주노총 전북본부의 산업재해 조사 결과를 보면, 올해 상반기 전북지역 재해자는 1939명(사망 47명)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 1867명(사망 41명)에 견줘 72명(사망 6명)이 증가해 3.9%가 늘었다. 또 지난해 전북에서 산업재해로 발생한 사망사고가 75명에 달한다. 하지만 노동계는 작업 현장에서 산업재해로 처리되지 않고 은폐한 것을 포함하면 3~4배 높은 산업재해가 발생한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전북지역 작업 현장의 약 98%가 50명 미만의 중소영세사업장으로 안전에 소홀하다. 특히 영세사업장에선 법에 보장된 산재예방교육에 소홀하고, 안전 및 감시 체계가 전무해 산재가 많이 발생한다는 지적이 높다. 실제로 지난 9월10일 전북 정읍의 한 주물공장에서 용광로 쪽으로 쇳물을 붓는 수작업을 하던 노동자 2명이 목숨을 잃는 사고가 발생했다.
산재율이 전국에서 가장 높은 전북은 산재 불승인율도 전국에서 가장 높다. 민주노총 전북본부는 2010년부터 산업의학과 설치의 필요성을 절감하고, 지난해부터 전북지역 병원에 산업의학과를 설치하기 위해 노력해왔다. 민주노총 전북본부는 이날 오전 전북도청 앞에서 집회를 열고 전북지역 병원에 산업의학과 설치를 촉구했다. 전북지역 노동자들은 직업병이 발생하면 충남·경기·서울·전남 등 다른 곳으로 가서 산업의학과 진료·상담을 받고 있기 때문이다. 이들은 “전북 익산 원광대에 산업의학과가 있지만 예약진료만 받고 있어 사실상 이용하기가 어렵다”며 “전북대병원에 산업의학과가 설치돼야 신속하게 직업병 상담을 받을 수 있다”고 지적했다.
정광수 민주노총 전북본부장은 “산업의학과를 거쳐야만 산재 판정이 가능한 것은 아니지만 일반 진료과목에서는 직업 관련성 원인을 찾기가 어려운 실정”이라며 “직업병이 발생했으면 산업의학과 의사와 상담해야 도움을 받을 수 있다”고 말했다.
유택수 전북도 보건의료과장은 “전북대병원이 산업의학과 설치를 정부에 요청했으나, 익산 원광대병원에 이미 산업의학과가 있고, 산재로 인한 질환을 다른 과에서 진료가 가능하다는 등의 이유로 지난해 말 신설 반대 통보를 해왔다”고 말했다.
박임근 기자 pik007@hani.co.kr
<한겨레 인기기사>
■ ‘등록전 단일화’ 약속, 겨우 3일 남았다
■ 론스타, 한국정부 상대 수조원대 ISD 제기
■ “우리는 폰을 만들지 전쟁은 안한다” LG 옵티머스G, 1석2조 미국 광고
■ 고장 전동차 구하려다 ‘쾅’ … 승객 100여명 부상
■ 167명 목숨 잃고서야 멈춘 포성
■ 큰스님도 카사노바도 즐기던 ‘통영의 맛’
■ [화보] 안후보님, 뭐라고요? 궁금한 표정 문재인
■ ‘등록전 단일화’ 약속, 겨우 3일 남았다
■ 론스타, 한국정부 상대 수조원대 ISD 제기
■ “우리는 폰을 만들지 전쟁은 안한다” LG 옵티머스G, 1석2조 미국 광고
■ 고장 전동차 구하려다 ‘쾅’ … 승객 100여명 부상
■ 167명 목숨 잃고서야 멈춘 포성
■ 큰스님도 카사노바도 즐기던 ‘통영의 맛’
■ [화보] 안후보님, 뭐라고요? 궁금한 표정 문재인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