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물관쪽, 관장 고용승계 등 요구
도 “조건 없는 인수가 원칙” 곤혹
도 “조건 없는 인수가 원칙” 곤혹
제주도가 제주시 한경면 청수리 제주전쟁역사평화박물관의 매입을 추진하고 있는 가운데 박물관 쪽이 관장 가족 등의 고용 승계와 보조금 환수액 감면 등을 요구하고 나서 협의 과정에 어려움이 예상된다.
도는 일제 침탈의 역사를 보여주는 가마오름 갱도진지(등록문화재 제308호)를 끼고 있는 평화박물관 매입 협의과정에서 박물관 쪽이 추가 조건들을 제시하자 곤혹스러워하고 있다. 이영근 평화박물관장은 28일 제주도에 보낸 공문에서 △직원 고용승계 △내년 2월까지 매입 완료 △보조금 환수금액의 감면 등을 요구했다.
문제는 고용승계 대상자 6명 가운데 이 관장 본인과 부인, 아들 등 3명이 포함됐다는 점이다. 이 관장은 고용승계와 관련해 “절대 떠날 수 없다”는 뜻을 밝혔다. 도는 박물관 쪽의 요구를 받아들여 관장과 가족들이 그대로 경영에 참여할 경우 “세금으로 부채만 갚아준 모양새”가 된다는 비판이 제기될 것을 우려해 난감해한다. 그동안 지원됐던 보조금 환수액을 감면해 달라는 요구도 받아들이기 어려운 부분이다. 개인이 조성한 박물관을 자금난을 이유로 국가나 자치단체가 매입하는 것이 적정한지도 논란이 되고 있다.
앞서 도는 평화박물관의 일본 매각 반대 여론에 밀려 문화재와 각종 유물에 대한 감정평가 등의 절차를 밟아 26일 61억5600만원의 감정평가액이 나오자 매각 협의에 들어갔다. 도는 그동안 평화박물관 쪽에 지원한 시설투자비 보조금 9억4000만원을 환수할 방침도 세운 바 있다. 이규봉 제주도 문화정책과장은 29일 브리핑을 통해 “조건 없는 인수를 원칙으로 하고 있다. 협의 과정에서 고용승계 부분은 고려하지 않고 있다. 그러나 매매는 협의를 통해 이뤄지기 때문에 협상 과정에서 논의할 수는 있다”고 말했다. 또 이 과장은 “일본 매각이 거론되면서 문화재청과 제주도의 매입 검토가 시작됐지만, 평화박물관의 자산이 역사적 가치가 있어 공공의 자산으로 활용하기 위해 매입하는 것”이라고 말했다.
도는 이 관장이 9월30일 한 일본인과 평화박물관 매각을 위한 각서를 체결했다는 사실이 알려지면서 일제 침략의 현장을 일본에 매각해서는 안 된다는 여론이 제기되자 급기야 문화재청과 박물관 매입 검토에 나섰다. 이 관장은 10월15일 국회 행정안전위원회의 제주도 국정감사에 증인으로 나와 “부채가 55억원 정도 된다. 국내에서 누군가라도 12월 전에 매입하겠다고 하면 일본 쪽과 맺은 각서는 백지화시키겠다”고 밝힌 바 있다. 허호준 기자 hojoon@hani.co.kr
<한겨레 인기기사>
■ [논쟁] 홍성담 화백의 ‘유신풍자화’, 어떻게 봐야 하나
■ “이 자식이” “버르장머리 없는 XX” 새누리 의원들, 국회 회의 도중 욕설
■ 공지영, 정권교체 위해 단식 기도 돌입
■ 발사 16분전 상단로켓 이상…‘2012년 우주여행’ 사실상 무산
■ 귀엽게 망가진 박하선이 없었다면…
■ 전설, 떠나다…박찬호 “은퇴하겠다”
■ [화보] ′성추문 검사′ 얼굴 가린 채…
■ [논쟁] 홍성담 화백의 ‘유신풍자화’, 어떻게 봐야 하나
■ “이 자식이” “버르장머리 없는 XX” 새누리 의원들, 국회 회의 도중 욕설
■ 공지영, 정권교체 위해 단식 기도 돌입
■ 발사 16분전 상단로켓 이상…‘2012년 우주여행’ 사실상 무산
■ 귀엽게 망가진 박하선이 없었다면…
■ 전설, 떠나다…박찬호 “은퇴하겠다”
■ [화보] ′성추문 검사′ 얼굴 가린 채…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