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시공사 등 3곳 임원 교체 앞둬
관가에 “퇴직 공무원 내정” 소문
노조협의회 “자체승진 길 열어야”
관가에 “퇴직 공무원 내정” 소문
노조협의회 “자체승진 길 열어야”
대구시 산하 지방공기업 3곳의 전무이사 교체기를 앞두고, 대구지역 관가에 “퇴직을 앞둔 대구시 간부가 갈 것”이라는 소문이 퍼지고 있다.
이에 대해 대구 지방공기업 노조로 이뤄진 ‘대구시투자기관 노조협의회’는 12일 “대구시가 퇴직 임박한 간부공무원들을 지방공기업 전무이사로 임용한다는 내부방침을 세웠다는 소문이 파다하며, 심지어 특정인을 내정했다는 말까지 나돌고 있다. 하지만 이번에 또 낙하산 인사를 내리꽂으면 그냥 있지 않겠다”며 대구시 간부의 공기업 전무이사 임용 가능성에 강한 경계심을 나타냈다. 협의회는 성명까지 내어 “지방공기업마다 임원추천위원회가 구성되지만 형식적인 요식행위에 머물고 퇴직 공무원이 지방공기업의 임원 자리를 차지하는 구시대적 관행이 되풀이될 가능성이 높다”고 주장했다.
이달 말부터 내년 2월 초 사이에 전무이사를 교체해야 할 공기업은 대구도시공사, 대구시설관리공단, 대구환경시설관리공단 등 3곳이다. 주택 건설과 산업단지 개발을 위해 대구시의 전액 출자로 설립된 대구도시공사는 올해 연말 임기를 마치는 조영성 전무이사의 후임을 뽑고 있다. 화장장, 수영장, 승마장, 사격장, 주차장 등을 대구시로부터 위탁관리하는 대구시설관리공단도 다음달 말 임기를 끝내는 전무이사의 후임을 정하는 절차를 밟고 있다. 하수처리장 등을 관리하는 대구환경시설관리공단도 내년 2월 초 임기를 마치는 전무이사의 후임 인선을 준비하고 있다.
이재삼(대구도시공사 노조위원장) 노조협의회 의장은 “대표와 전무 등 지방공기업의 임원 두 자리를 퇴직공무원이 모두 차지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으며, 견제효과도 거둘 수 없다. 외부채용 또는 지방공기업에서 자체승진할 수 있는 길이 열려야 한다”고 말했다. 김원구 대구시의회 행정자치위원장도 “지방공기업의 임원을 임명할 때 추천위원회의 추천 절차를 밟지만, 사실상 임명권자인 대구시장의 뜻에 따라 결정하는 것이 현실이다. 따라서 지방의회가 청문회 등 사전 심의에 참여할 수 있는 제도적 장치를 마련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구대선 기자 sunnyk@hani.co.kr
<한겨레 인기기사>
■ 대선전 막판 여론조사…박·문 초박빙 혼전세
■ 비밀투표 맞아? 속 훤히 비치는 부재자투표 봉투 논란
■ 토론에서 드러난 ‘6억·성북동 집’ 그 진실은…
■ 김현철 “김중태 정신나간 사람, 아버지(YS)도 어처구니 없다고…”
■ 수리 맡긴 베엠베 차 폐차지경 만들어놓고…
■ [화보] 국정원 불법선거운동 공방…한밤 대치
■ [화보] ′북한, 장거리 3단 로켓 은하3호 발사!′
■ 대선전 막판 여론조사…박·문 초박빙 혼전세
■ 비밀투표 맞아? 속 훤히 비치는 부재자투표 봉투 논란
■ 토론에서 드러난 ‘6억·성북동 집’ 그 진실은…
■ 김현철 “김중태 정신나간 사람, 아버지(YS)도 어처구니 없다고…”
■ 수리 맡긴 베엠베 차 폐차지경 만들어놓고…
■ [화보] 국정원 불법선거운동 공방…한밤 대치
■ [화보] ′북한, 장거리 3단 로켓 은하3호 발사!′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