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부터 서울 시내버스 겉면에 걸렸던 광고에서 술이나 과장된 성형, 선정적 게임 광고 등이 사라질 것으로 보인다. 서울시는 시내버스 외부광고의 품질향상과 광고 운영방식을 개선하기 위해 ‘시내버스 외부광고 운영 개선계획’을 마련해 시행에 들어갔다고 13일 밝혔다.
계획을 보면, 시는 66개 시내버스 업체가 개별적으로 광고 대행사를 선정해 관리해왔던 것을 통합해 광고 대행사 한 곳이 전체 7512대 버스의 외부광고를 도맡는 ‘일괄 입찰 방식’으로 바꿨다. 시는 이럴 경우 버스업체들가 광고로 벌어들이는 수익이 늘어나면서 준공영제에 따른 시의 버스업체 재정 지원 부담이 줄어들 것으로 예상했다. 실제 지난해 월 평균 37만원이었던 버스 한 대당 광고 단가는 일괄 입찰 도입 뒤인 올해 51만원으로 조정됐다. 광고업체로는 지난해 11월 공모에 참여한 7개 업체 중 ㈜전홍을 최종 선정했고, 이 업체는 3년 동안 서울의 모든 시내버스에 대한 광고 권한을 갖게 된다.
시는 아울러 광고대행사 입찰 때 계약서에 ‘주류광고 금지’와 ‘사전 심의를 거친 광고만 부착해야 한다’는 조항을 명문화했다. 이에 따라 병원 과대광고나 성인용품 등 사회 미풍양속에 반하거나 시민 정서에 해를 끼치는 광고, 선정적 사진이나 문구가 들어간 광고, 여론 분열을 조장할 소지가 있는 광고, 특정 종교 권유 광고 등은 걸 수 없게 됐다. 시는 사전 심의를 거치지 않은 광고를 실으면 위약금을 부과하는 등 제재할 방침이다.
시는 이밖에 버스광고 허용면을 지금보다 2배가량 늘리고 광고면 안에 타원이나 삼각형, 사각형 등 자유로운 형태로 광고물을 붙일 수 있게 해 자유로운 광고기법을 허용하기로 했다.
윤준병 서울시 도시교통본부장은 “그동안 버스조합에 맡겼던 버스 외부광고를 시가 일괄 관리하면서 공익성도 높이고 광고 수입도 늘어나 시 재정 부담을 완화할 수 있게 됐다”고 말했다.
박기용 기자 xeno@hani.co.kr
<한겨레 인기기사>
■ ‘대한민국자식연합’ 해산 이유 들어보니…
■ 미군 앞 스트립걸 누나… 그의 록이 울었다
■ MB ‘셀프 훈장’ 논란…제작비 금값만 4500만원
■ 장정일 ‘글 밖의 김지하, 서글픈 자기분열’
■ KT, 왜 프로야구에 다시 뛰어들었을까
■ ‘대한민국자식연합’ 해산 이유 들어보니…
■ 미군 앞 스트립걸 누나… 그의 록이 울었다
■ MB ‘셀프 훈장’ 논란…제작비 금값만 4500만원
■ 장정일 ‘글 밖의 김지하, 서글픈 자기분열’
■ KT, 왜 프로야구에 다시 뛰어들었을까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