쓰레기 처리업체와 자치구 사이의 비용 부담에 대한 의견 차이로 지난 7일 이후 음식물쓰레기가 쌓여가고 있는 서울 성북구에서 15일 쓰레기 처리가 재개됐다. 그동안 쌓인 쓰레기를 처리하는 데만 닷새가 넘게 걸릴 전망이다.
서울시와 성북구 담당 공무원 등의 말을 종합하면, 지난 14일 서울시와 음식물쓰레기자원순환협회, 각 구 관계자들은 서울시청에서 모여 올해부터 쓰레기 폐수의 해양 투기가 금지된 데 따른 비용 분담 문제를 논의했다. 이 자리에서 이들은 서초구에서 의뢰한 ‘적정단가 산출을 위한 용역’ 결과가 나오는 새달 초 논의를 재개하기로 하고, 시민 불편이 없도록 하자는 데 합의했다. 이에 따라 지난 7일 이후 음식물쓰레기 수거가 중지됐던 성북구도 수거를 재개했지만, 두 업체 가운데 한 곳만 수거에 나서면서 쌓인 쓰레기를 치우는 데만 닷새가 넘게 걸릴 전망이다.
성북구 공무원은 “나머지 업체가 처리기계 고장을 이유로 재개에 나서지 않고 있어 쌓인 쓰레기를 치워 정상화하려면 5일 이상 걸릴 것 같다”고 말했다.
현재 성북구 곳곳엔 쓰레기가 쌓여 있는 상황이다. 길음동 ㄹ아파트 관리사무소 직원은 “오늘 수거업체 차량이 다녀갔지만 두세통 정도만 가져갔다. 음식물쓰레기가 넘쳐서 따로 비닐푸대를 마련해 쌓아뒀고, 주민들에겐 매일 음식물쓰레기 배출을 자제해 달라는 안내방송을 하고 있다”고 말했다.
주민들은 불만이 쏟아냈다. 이 아파트 주민 김아무개씨는 “언제까지 집에 쌓아둘 수도 없고, 아파트에서 자제해달라는데 밖으로 가져가기도 난처하고, 쓰레기통도 가득 차서 버릴 수도 없다. 도대체 구청은 뭐하느냐”며 분통을 터뜨렸다. 다른 주민 이아무개씨는 “집 베란다 밖 에어컨 실외기실에 쌓두고 있다. 여름이 아니라 냄새가 덜 나는 것을 고마워하는 처지”라고 말했다.
올해부터 쓰레기 폐수의 해양 투기가 금지되면서 서울시를 비롯한 전국의 음식물쓰레기 처리업체들은 8만원 안팎이던 비용을 12만대로 인상해줄 것을 기초자치단체들에 요구하고 있다. 일부 요구를 들어준 곳도, 일단 가계약을 맺어놓고 적정단가 산출 위한 협상에 들어간 곳도 있다.
오는 17일 주무부서인 환경부가 시·도 관계자를 모아놓고 대책회의를 열 계획이지만, 쓰레기 폐수의 해양투기 금지에 따른 비용을 누가 떠안을지를 두고 당분간 논란이 이어질 것으로 보인다.
박기용 기자 xeno@hani.co.kr
<한겨레 인기기사>
■ ‘조폭 현황 보고서’ 단독입수 “김태촌은…”
■ 이강국 “이동흡 지명, TK 밀어붙이기 인사”
■ 열 번째 이사…똥이 넘치는 반지하 변기의 추억
■ ‘짐승 선생님’ 초등생과 성관계 교사, 다른 제자와도…
■ 안만든다더니…‘이명박 대통령길’ 슬그머니 개장
■ ‘조폭 현황 보고서’ 단독입수 “김태촌은…”
■ 이강국 “이동흡 지명, TK 밀어붙이기 인사”
■ 열 번째 이사…똥이 넘치는 반지하 변기의 추억
■ ‘짐승 선생님’ 초등생과 성관계 교사, 다른 제자와도…
■ 안만든다더니…‘이명박 대통령길’ 슬그머니 개장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