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음달 계획변경 용역 맡겨 평가
8년째 추진 불구 도민들과 괴리
도 “주민 밀착형으로 바꿀 계획”
8년째 추진 불구 도민들과 괴리
도 “주민 밀착형으로 바꿀 계획”
제주도가 8년 동안 유지해온 ‘세계 평화의 섬’ 사업을 전면 재검토한다.
도는 다음달 전문기관에 세계 평화의 섬 사업계획 변경 용역을 맡길 계획이라고 16일 밝혔다. 도는 용역을 통해 그동안 추진해온 사업의 문제점과 사업 지속 여부 등을 진단하고, 시대 환경 변화에 알맞은 도민 밀착형 ‘평화사업’을 발굴할 예정이다.
도는 2005년 1월27일 정부 계획에 따라 확정된 17대 사업이 부서별로 추진중에 있지만 8년이 지나면서 사업 재조정이 필요하고, 새로운 사업 발굴이 필요하다는 지적에 따라 추진 상황과 문제점, 사업 지속 여부 등을 평가할 계획이다.
도는 △제주평화연구원 설립 △국제평화센터 밀랍인사 섭외 △국제평화센터 콘텐츠 확보 △남북장관급 회담 개최 △제주평화포럼 정례화 △4·3진상조사보고서 국정교과서 반영 △남북민족평화축전 개최 등 7대 사업을 마무리했고, 모슬포 전적지 공원조성 사업 등 10개 사업은 추진중이라고 밝혔다.
그러나 세계 평화의 섬 17대 사업 중 일부는 계획 확정 당시부터 이미 진행중인 사업을 끼워맞추기식으로 집어넣거나 중앙부처 주도 사업인지 또는 평화사업인지 등이 불투명한 사업들도 포함돼 논란이 일었다.
실제로 제주평화연구원 설립은 외교통상부가 주관이 됐고, 국제평화센터 전시관에 전시할 외국 유명인사들을 밀랍인형으로 만드는 사업도 평화사업에 포함됐다. 지방자치단체의 대표적인 평화사업 가운데 하나인 ‘북한에 감귤 보내기 운동’은 1998년부터 추진했고, 제주평화포럼도 2001년 이후 격년제로 실시하는 등 정례화된 사업이다.
특히 평화사업 가운데는 제주도를 ‘동북아 물교육 중심지’로 육성한다는 계획도 포함돼 논란이 제기된 바 있다. 도는 제주의 지하수를 이용한 산업단지 조성이 평화사업과 무슨 관계가 있느냐는 지적이 제기됐지만 평화사업에 포함시켜 추진해왔다.
시민단체 관계자는 “평화의 섬 사업들이 짜맞추기식으로 돼 있고, 일부 사업은 중앙부처 주관으로 이뤄지는 등 실제 도민들의 정서와는 괴리된 채 추진돼왔다. 제주4·3을 매개로 한 평화사업이라면 동북아시아의 과거사 공유를 통한 평화사업 등도 있어야 하는데 엉뚱한 사업이 포함돼 있다”고 말했다.
제주도 관계자는 “새 정부 아래서 남북관계 개선에 대비해 도 차원에서 실현 가능한 남북교류협력사업을 연계 검토해 나가겠다. 도민의 공감대 아래 사업이 추진될 수 있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허호준 기자 hojoon@hani.co.kr
<한겨레 인기기사>
■ ‘KAL기 폭파범’ 김현희 특별대담…“멘붕이란 말은 이럴 때”
■ 소고기 햄버거에 웬 말고기와 돼지고기?!
■ MB “‘4대강 수출 반대’ 시민단체는 반국가적”
■ 6년간 6억벌어 6억저축 ‘의아’…아들 증여세 탈루 의혹도
■ 주민 내쫓긴 동네들 ‘흉흉’…“무엇 때문에 서둘렀나”
■ ‘KAL기 폭파범’ 김현희 특별대담…“멘붕이란 말은 이럴 때”
■ 소고기 햄버거에 웬 말고기와 돼지고기?!
■ MB “‘4대강 수출 반대’ 시민단체는 반국가적”
■ 6년간 6억벌어 6억저축 ‘의아’…아들 증여세 탈루 의혹도
■ 주민 내쫓긴 동네들 ‘흉흉’…“무엇 때문에 서둘렀나”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