버스 업체 대표들 평균 2억원 ‘과다 연봉’
해마다 2천억원 적자 보전…수백억 대표에 돌아간 셈
과다지원 논란 여전하자 표준운송원가 재설정 방침
해마다 2천억원 적자 보전…수백억 대표에 돌아간 셈
과다지원 논란 여전하자 표준운송원가 재설정 방침
2004년 준공영제 이후 서울시로부터 해마다 2천억원이 넘는 적자 보전금을 받고 있는 시내버스 업체의 대표들이 평균 2억원이 넘는 고액연봉을 받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시는 시내버스에 대한 과다지원 논란에 따라 표준운송원가를 새로 만들기로 했다.
17일 서울시 관계자 등의 말을 종합하면, 2009년부터 2011년까지 3년 동안 시내버스 66개사 대표들에게 지급된 연봉은 전부 394억474만원이었다. 연도별로는 2009년 123억4148억원, 2010년 133억6109만원, 2011년 137억3817만원이었다. 버스업체 대표들의 평균 연봉은 이에 따라 2009년 1억8699만원에서 2010년 2억244만원, 2011년 2억815만원으로 늘었다. 이 가운데 선진운수 대표 민아무개씨는 5억원이 넘는 연봉을 받았으며, 삼화상운·한성여객·흥안운수의 대표들은 3억원대의 연봉을 받아온 것으로 나타났다.
서울 시내버스가 2004년 준공영제로 전환되면서 시가 해마다 2천억원이 넘는 적자를 보전하고 있는 것을 고려하면 시민들이 낸 세금 수백억원이 사실상 버스회사 대표들에게 돌아가는 셈이다. 시는 2004년 7월부터 지난해까지 전부 1조8195억원을 시내버스 적자 보전금으로 지원해왔다. 연평균 2022억원에 달한다.
시는 이에 따라 지난해부터 임원 인건비를 업체가 보유한 버스대수를 기준으로 정해 원가만 지급하는 방식을 도입했지만, 과다지원 논란이 여전하자 시내버스 재정지원의 기준이 되는 표준운송원가를 새로 만들기로 하고 관련 용역을 발주했다. 시는 이를 통해 시내버스 회사의 원가요소별 항목과 각 회사에 지급한 재정지원금 기준의 적정성 등을 분석해 표준운송원가를 재설정할 방침이다.
권오혁 서울시 버스관리과장은 “66개 버스 회사들의 전체 지출비용을 전수조사해 과다지원 등의 폐해를 막겠다”고 말했다.
현재 서울의 시내버스 회사는 66개로, 전부 7534대의 버스를 운행하고 있다. 전체 366개 노선 중 흑자노선은 69개(19%)에 불과하며, 나머지 297개(81.1%)는 적자를 내고 있다.
박기용 기자 xeno@hani.co.kr
<한겨레 인기기사>
■ ‘공보다 사’…이동흡, 사익 챙기기 도넘었다
■ 수차례 상담받고도…동성애 병사 자살
■ ‘개닦이’ ‘뒈악세기’를 아시나요?
■ ‘러시아 부부 스파이’ 푸틴은 알고 있었을까
■ 죄가 없어도 내 발로 걸어들어가는 교도소, 왜?
■ ‘공보다 사’…이동흡, 사익 챙기기 도넘었다
■ 수차례 상담받고도…동성애 병사 자살
■ ‘개닦이’ ‘뒈악세기’를 아시나요?
■ ‘러시아 부부 스파이’ 푸틴은 알고 있었을까
■ 죄가 없어도 내 발로 걸어들어가는 교도소, 왜?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