처리지연 재발방지 위해 2018년까지 시설 증설
민간 위탁업체가 수거를 거부해 서울 일부 자치구에서 음식물쓰레기를 치우지 못하고 쌓아뒀던 상황이 이번 주중 해소될 전망이다. 시는 이번 처리지연 사태의 재발을 막기 위해 2018년까지 시설 증설을 통해 음식물쓰레기의 95%를 공공에서 처리하기로 했다.
임옥기 서울시 기후환경본부장은 22일 기자설명회를 열고 “계약 체결을 유리하게 하거나, 혹한으로 인한 기계 고장 등을 이유로 민간업체가 음식물쓰레기를 제한적으로 수거해 일부 자치구에서 쓰레기를 제때 처리하지 못하는 사태가 발생했다. 해양투기 금지에 대비한 민간의 처리용량은 이상 없다”며 이렇게 밝혔다. 지난 7일 이후 쌓였던 성북구의 음식물쓰레기는 지난주 모두 수거됐고, 관악·노원구에 쌓인 600t, 200t의 음식물쓰레기는 이번 주말까지 모두 수거할 계획이다. 처리단가 인상 문제는 새달 중순께 서초구의 관련 용역 결과를 보아 협상에 나선다는 계획이다.
시는 이와 함께 종량제를 통해 2018년까지 음식물쓰레기를 현재의 60% 수준으로 줄이고, 자체처리 시설을 증설해 현재 37%인 공공처리 물량을 95%로 늘리겠다고 밝혔다. 강동음식물폐기물처리시설의 처리용량을 늘리고 민자를 유치해 중랑구와 은평구에 새로 처리시설을 짓는다는 계획이다.
박기용 기자 xeno@hani.co.kr
<한겨레 인기기사>
■ 나쁜 남자 ‘흡’에게 헌재란?
■ “용산참사, 박 당선인에 두개의 문이 될 것”
■ 이재용 아들이 사회적 배려대상?…시민들 “허탈”
■ 이한구 “이동흡 청문회, 인격살인…도살장 비슷”
■ [화보] 청문회 출석한 이동흡 ‘아~목이 타네’
■ 나쁜 남자 ‘흡’에게 헌재란?
■ “용산참사, 박 당선인에 두개의 문이 될 것”
■ 이재용 아들이 사회적 배려대상?…시민들 “허탈”
■ 이한구 “이동흡 청문회, 인격살인…도살장 비슷”
■ [화보] 청문회 출석한 이동흡 ‘아~목이 타네’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