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대쪽 “찬성일색 패널로 구성
장단점 연구용역 뒤 설명회를”
장단점 연구용역 뒤 설명회를”
지역의 현안 문제로 떠오른 전북 전주·완주 통합 문제가 난항을 예고하고 있다.
오는 6월 전주·완주 통합 주민투표를 앞두고, 지난 30일 완주군 문예회관에서 ‘전주·완주 통합시 비전 연구용역 주민공청회’가 통합을 반대하는 주민들의 거센 항의로 무산됐다.
통합 반대 쪽 주민들은 “대부분 찬성 쪽 패널들로 구성한 공청회는 의미가 없으며, 공청회는 찬성 여론만 강화할 것”이라고 반발했다. 이들은 “전주시를 둘러싼 완주군은 전북의 심장이자 허파 기능을 하고 있는데, 이미 전주시로 편입된 이서면 일부가 광역쓰레기매립장으로 변하는 등 혐오시설들로 환경이 악화되고 있다”고 주장했다.
이들은 또 “기존의 도농 통합지역의 경우 통합 전에 내놓은 지원 약속이 지켜진 사례가 없다. 완주 지역 지원을 위해 필요한 예산을 충당할 방안은 있는지 묻고 싶다. 인구가 적은 완주는 통합 후 소외될 수 있다”고 말했다. 국영석 완주사랑지킴이운동본부장은 “통합의 긍정적 부문만이 아니라 문제점 등에 대한 연구용역을 진행한 뒤, 두가지 보고서를 갖고 주민설명회를 개최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완주군은 “공청회가 무산돼 아쉽다. 통합으로 가는 길이 쉽지만은 않을 것 같다”며 당혹감을 감추지 못하고 있다. 임정엽 완주군수는 “군과 군의회는 중립을 지킬 것이며, 주민들 스스로 통합 찬반 결정을 내릴 수 있도록 하고, 절차상 하자가 있다면 바로잡을 것”이라고 말했다.
완주는 일제강점기인 1935년 전주에서 강제로 분할됐다. 전주·완주 행정구역을 통합하려는 움직임은 1992년부터 있었다. 그러나 농촌지역인 완주군의 반대가 워낙 거세 별다른 진전이 없었다. 17년이 지난 2009년 당시 행정안전부가 시행한 통합 여론조사에서 찬성률이 전주시는 88.4%였지만, 완주군은 35.8%에 그쳐 통합이 무산됐다. 지난해 4월30일 전북도의 중재로 전주시장과 완주군수가 통합에 전격 합의했다. 오는 6월 주민투표를 통과하면 통합추진위원회가 구성돼 준비 과정을 거쳐 내년 7월 통합체제가 출범한다.
박임근 기자 pik007@hani.co.kr
<한겨레 인기기사>
■ 국정원 직원, 다른 사이트에도 ‘정치 글’
■ “글 안썼다”→“대북심리전”…국정원, 거짓말 들키자 거듭 말바꾸기
■ 징역4년 최태원 ‘눈 질끈’…무죄 최재원 ‘눈물’
■ 박태환 아버지 “우리 태환이가 무슨 죄 있나요?”
■ 희토류 전쟁, 중국의 패배?
■ 국정원 직원, 다른 사이트에도 ‘정치 글’
■ “글 안썼다”→“대북심리전”…국정원, 거짓말 들키자 거듭 말바꾸기
■ 징역4년 최태원 ‘눈 질끈’…무죄 최재원 ‘눈물’
■ 박태환 아버지 “우리 태환이가 무슨 죄 있나요?”
■ 희토류 전쟁, 중국의 패배?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