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의 시뮬레이션 검증결과 수용
주민들 “돌제부두 없이 검증 의문
사실상 설계 잘못 인정” 중단 요구
주민들 “돌제부두 없이 검증 의문
사실상 설계 잘못 인정” 중단 요구
제주해군기지(민·군복합형 관광미항) 내 돌제부두(항만 내 선박 계류가 가능하도록 해안선에 직각 또는 경사지게 돌출시켜 만든 부두)가 있을 경우 크루즈항 기능에 문제가 있을 것이라는 지적이 나오고 있는 가운데 우근민 제주지사는 “핵심적인 문제가 해소됐다”며 적극 추진할 뜻을 밝혔다. 그러나 해군기지 내 돌제부두 설계변경이 이뤄지지 않는 한 크루즈선의 입출항에 대한 논란도 계속될 전망이다.
우 지사는 이날 오후 제주도청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정부와 제주도가 요청한 시뮬레이션 시현 결과 15만t 크루즈선 2척의 안전한 입항이 가능하다는 결론이 도출됐다. 이제 민·군복합형 관광미항 논란과 관련한 핵심적인 문제가 해소됐다”고 밝혔다. 그는 “객관적이고 공정한 확인 과정 끝에 나온 결과물이기에 의미가 크다”며 전폭적으로 수용했다. 또 “이번 시현은 돌제부두가 없는 상황을 가정해 시행했다. 정부는 ‘돌제부두가 없다’는 시뮬레이션 조건 등을 설계시공 측면에서 구체적으로 현실화시키는 합리적인 방안을 마련할 것으로 생각한다”고 말했다.
우 지사는 또 민·군복합항 및 강정마을 지역을 거점으로 하는 ‘크루즈산업 진흥 특구 타당성 연구’에 착수해 복합항을 활용한 미래성장 동력을 찾는 과업을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제주도는 2011년 8월 제주도의회 임시회에서 크루즈 허브항 4대 정책과제를 △국제크루즈항 진흥 특구 지정 △국제크루즈선사 유치 △내외국인 면세점 유치 △크루즈박람회 창설 운영 등을 제시한 바 있다. 우 지사는 이날 ‘크루즈산업대학’ 설립 검토 계획도 밝혔다. 또 우 지사는 “사업을 둘러싸고 강정마을 공동체가 내부 갈등과 대립으로 큰 고통과 아픔을 겪고 있다. 법적 제재를 받은 강정마을 주민들에 대해 특별사면을 포함한 특단의 대책을 마련해 달라”고 호소했다.
그러나 돌제부두가 있을 경우 15만t 크루즈항으로서의 기능에 어려움이 있을 것으로 전망돼 논란이 될 것으로 보인다. 주민들과 반대 단체들은 “돌제부두가 없는 조건에서 시뮬레이션을 수행했다는 것 자체가 설계변경과 공사 중단이 불가피하다는 의미”라며 설계 오류가 재확인됐다는 입장이다.
앞서 이날 오전에는 강동균 강정마을 회장 등 주민들과 홍기룡 제주군사기지 저지 범도민대책위원회 집행위원장 등이 제주도청에서 우 지사를 만나 공사 중단을 강력하게 요청했다. 이들은 “이번 시뮬레이션은 설계상 존재하는 돌제부두가 없다는 가정 아래 진행된 것이다. 결국 현 해군기지 설계가 잘못됐음을 인정한 것”이라고 주장했다.
우 지사는 이에 대해 확실한 입장을 밝히지 않은 채 “돌제부두 변경이 안 되더라도 수용할 것이냐”는 질문에 “아니다. 시현 결과 보고서를 존중하는 선에서 해군이 잘할 것으로 생각한다”고 말해 해군 쪽의 ‘선의’를 기대했다.
허호준 기자 hojoon@hani.co.kr
<한겨레 인기기사>
■ “삼성 사망자 기도서 수포”…다량의 불산에 노출된 듯
■ 북 핵실험 갱도가 ‘망치 모양’인 이유
■ 당선인 복심 이정현, 청문회 비판 가세
■ ‘달덩이 얼굴’ 부기 빼려면…? 노하우 공유 사이트에 물어봐!
■ 피곤한 간 때문에 먹는 약, 사실은 소화제였다?
■ “삼성 사망자 기도서 수포”…다량의 불산에 노출된 듯
■ 북 핵실험 갱도가 ‘망치 모양’인 이유
■ 당선인 복심 이정현, 청문회 비판 가세
■ ‘달덩이 얼굴’ 부기 빼려면…? 노하우 공유 사이트에 물어봐!
■ 피곤한 간 때문에 먹는 약, 사실은 소화제였다?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