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참여자치시민연대, 감사원에
“요트시설 줄이고 수익사업 늘린
계획변경안 승인과정에 의혹”
“요트시설 줄이고 수익사업 늘린
계획변경안 승인과정에 의혹”
특혜 시비와 함께 주민 반발이 끊이지 않고 있는 부산 해운대구 수영만 요트경기장 재개발 사업의 의혹을 밝혀달라며 시민단체가 감사원에 감사를 청구했다.
부산참여자치시민연대는 5일 감사원에 “부산시와 현대산업개발 컨소시엄이 추진하는 수영만 요트경기장 재개발 사업의 모든 과정을 철저히 감사해 반칙과 특혜가 있었으면 엄정하게 처리해 달라”며 감사청구서를 냈다.
부산참여자치시민연대는 감사청구서에서 “민간투자자인 현대산업개발 컨소시엄이 처음 부산시에 사업계획서를 제출했을 때보다 요트 관련 시설은 줄이고 호텔과 컨벤션, 쇼핑·판매시설 등 요트장과 직접 관련이 없는 시설을 대폭 늘린 변경안을 부산시 도시계획위원회가 승인한 과정을 철저히 밝혀달라”고 요구했다. 또 부산참여자치시민연대는 “부산시 소유 공공장소에 민간사업자가 상업시설을 건설해 이익을 챙겨 가는 기회를 시가 제공한 것이 과연 옳은지도 판단해 달라”고 덧붙였다.
부산 해운대구 수영만 요트경기장은 1986년 서울아시아경기대회와 88년 서울올림픽 때 요트경기장으로 사용된 뒤 시로 소유권이 넘어왔다. 시는 시설이 낡은데도 러시아 등 외국의 요트 정박이 늘어나자 재개발 방침을 세워 2010년 10월 “민간사업자가 30년 동안 운영한 뒤 시에 반납한다”는 3자 공고안을 냈다.
단독 응모한 현대산업개발 컨소시엄은 “2013년까지 1500억원을 들여 23만4249㎡의 요트경기장에 요트전시장을 갖춘 요트클럽과 컨벤션센터를 갖춘 마리나 호텔을 새로 짓고 요트 정박 능력을 현재의 448척에서 902척으로 늘리겠다”고 제안했다.
하지만 현대산업개발 컨소시엄은 1년 뒤인 2011년 9월 요트 정박 능력을 626척으로 줄이면서 호텔 면적은 1만8167㎡에서 2만3848㎡로 5681㎡, 판매시설 면적은 873㎡에서 2889㎡로 2016㎡ 늘리는 등 수익시설을 확충하는 계획변경안을 부산시에 냈다. 부산시 도시계획위원회는 지난해 4월 계획변경안을 보류했다가, 두 달 뒤에 6월 변경안을 승인했다.
이에 수영만 요트경기장 주변 아파트 주민들은 “요트 수리소가 들어서면 소음과 매연 등이 발생할 것인데, 현대산업개발이 직접 시공한 아파트 인근에 들어설 예정이던 수리소를 다른 아파트 쪽으로 옮겨 엉뚱한 주민들이 피해를 입게 됐다. 또 고층 호텔이 들어서면 바다 쪽 전망도 막히게 될 것”이라며 시 청사 앞에서 집회를 여는 등 반발하고 있다.
시는 “주민들의 민원을 해소하기 위해 요트 수리소는 3곳에서 1곳으로 줄이고 호텔도 19층에서 15층으로 낮췄다. 방치됐던 수영만 요트경기장을 재개발하려면 민간투자 방식이 불가피하다”고 밝혔다.
김광수 기자 kskim@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