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가 오세훈 전 시장의 역점사업인 ‘한강 르네상스 사업’에 대해 “과도한 개발 편향이며 타당성을 잃은 사업”이라고 비판한 내용을 담은 백서 <한강개발사업에 의한 자연성 영향 검토>를 5일 내놨다. 백서는 박창근 관동대 교수(토목공학) 등 학자 6명의 보고서를 묶은 것이다.
박 교수는 백서에서 “한강 르네상스 사업은 과도한 개발 편향으로 본래의 취지와 거리가 먼 사회적 갈등 이슈로 부각됐다는 평가를 받을 수밖에 없다”고 지적했다. 박 교수는 “사업의 검증 평가, 여론수렴 절차 개선, 사업의 일관성 확보 같은 보완책을 마련해 지속가능한 대안을 도출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반포·난지특화지구 등은 과도한 토목공사 위주로 진행되어 생태계 복원사업에 한계를 보였고, 지천운하사업은 문화재를 훼손하고 일대 지하철 안정성까지 위협했다고 지적했다.
유정칠 경희대 교수(생물학)는 “인공 시설물로 인해 생태계가 단절됐고 표면적인 단순한 생태복원에 그쳐 한강의 자연성 회복을 위해 더 근본적인 복원과 관리가 필요하다”고 조언했다.
서울시 한강시민위원장인 김정욱 서울대 명예교수(환경학)와 한봉호 서울시립대 교수(조경학)는 한강 르네상스 사업이 “약간의 자연성이 가미된 인공 사업이 대부분이며, 특히 경인운하와 한강을 연결하고 중랑천과 안양천을 운하로 만드는 사업은 전혀 타당성을 잃은 사업”이라고 적었다.
박기용 기자 xeno@hani.co.kr
<한겨레 인기기사>
■ 희귀병 두아들 손발이 돼 20년, 엄마는 버티지 못해…
■ 끝까지 남탓만…MB ‘불굴의 자기합리화’
■ 강지원 “국정원 선거개입 사실일땐 4.19와 비슷”
■ “정계 입문전 발표작은 교과서 수록…정치인 사진·이름은 원칙적 배제”
■ ‘어? 세뱃돈이 짐바브웨 지폐네’
■ 희귀병 두아들 손발이 돼 20년, 엄마는 버티지 못해…
■ 끝까지 남탓만…MB ‘불굴의 자기합리화’
■ 강지원 “국정원 선거개입 사실일땐 4.19와 비슷”
■ “정계 입문전 발표작은 교과서 수록…정치인 사진·이름은 원칙적 배제”
■ ‘어? 세뱃돈이 짐바브웨 지폐네’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