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문수 편찬추진 공표 6개월만
이영훈·안병직·류근일 등 참여
새달부터 공무원 교육교재 사용
“민주주의 가치 외면 우려” 비판
이영훈·안병직·류근일 등 참여
새달부터 공무원 교육교재 사용
“민주주의 가치 외면 우려” 비판
경기도가 현대사를 전공하지 않은 보수 성향 학자들에게 맡겨 만든 <경기도 현대사>를 다음달부터 경기도 공무원 교육용 교재로 쓰기로 했다. 공무원들에게 ‘편향된 역사 인식을 강요하는 게 아니냐’는 비판이 나오고 있다.
정택진 경기도 대변인은 21일 “편향적 역사교육을 바로잡고 올바른 역사 인식으로 공무원들이 애국심을 느낄 수 있도록 교재를 발간했다”고 말했다. 김문수 경기지사는 지난해 6월 “우리나라 국사가 잘못돼 있어 경기도 공무원 교과서를 따로 쓰고 출간할 것”이라고 말한 바 있다.(<한겨레> 2012년 6월19일치 14면)
368쪽 분량인 이 책은 경기도가 2010년 4600만원에 용역을 맡겨 최근 펴냈다. 경기도는 올해 신규 공무원 등 1480명의 교육용 교재로 쓸 계획이라고 밝혔다.
그러나 책의 내용과 필진 구성에서 편향성 논란이 일고 있다. 집필자인 이영훈 서울대 교수(경제학)는 뉴라이트계열의 <대안교과서 한국근현대사>를 펴낸 교과서포럼의 공동대표다. 자문을 맡은 안병직 서울대 명예교수(경제학)는 교과서포럼 고문이자 새누리당 여의도연구소 이사장을 지냈고, 류근일 <조선일보> 주필이사와 서양사를 전공한 강규형 명지대 교수는 ‘제2의 교과서포럼’으로 불리는 현대사학회 소속이다. 또 류석춘 연세대 교수는 한나라당 참정치본부 공동본부장을 지내는 등 자문단 7명은 보수 일색이다.
이근수 경기대 명예교수(사학)는 “논란이 많은 현대사 서술에서 집필자와 자문단에 최소한의 좌우 균형도 갖추지 못한 채 교재를 만들고는 공무원에게 그냥 따라오라는 것이냐”고 비판했다.
교재 곳곳에 편향적인 역사 서술이 발견된다. 제주 4·3 사건을 두고는 “제주도의 공산주의세력이 대한민국의 건국에 저항하여 일으킨 무장 반란이었다”고 기술했으며, 158쪽에서는 독재자로 인식되는 이승만 전 대통령이 저평가되는 책임을 국민 탓으로 돌렸다. 특히 5·16 군사쿠데타를 두고는 “5·16은 국가 경제의 곳간을 채우고… 5·16이 일어나자 대다수의 국민은 올 것이 왔다면서 그것을 암묵적으로 지지하였다”고 서술했다.
연세대 왕현종 교수(역사문화학)는 “일제의 식민지화가 한국의 근대화에 기여했다는 식민지 근대화론 자체가 논란인 상태에서, 이승만-박정희로 이어지는 지배층의 개발 중심적 접근은 독재권력에 맞선 민주주의 세력의 소중한 가치를 외면한 채 ‘주류의 역사만이 정당한 역사’라는 잘못된 역사 인식을 심어줄 수 있다”고 우려했다.
수원/홍용덕 기자 ydhong@hani.co.kr
<한겨레 인기기사>
■ 이명박 대통령 형사고발당해, 왜?
■ 인도서 또 성폭행 살해 세자매 우물에 버려져
■ “정홍원 국무총리 후보, 검사시절 박지만 봐주기 수사”
■ 검찰, 공소사실과 상관 없는 기자의 사적 기록까지 증거로
■ 코미디가 비추는 ‘한국 계급사회’의 진실
■ 이명박 대통령 형사고발당해, 왜?
■ 인도서 또 성폭행 살해 세자매 우물에 버려져
■ “정홍원 국무총리 후보, 검사시절 박지만 봐주기 수사”
■ 검찰, 공소사실과 상관 없는 기자의 사적 기록까지 증거로
■ 코미디가 비추는 ‘한국 계급사회’의 진실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