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주시에 유치반대 공문
경북 경주시가 중·저준위 방사성 폐기물 처리시설(방폐장) 유치에 나서자 울산시와 의회가 반대하고 나서 자칫 이웃한 두 지역이 등을 돌릴 가능성이 생겼다.
김헌득 울산시의회 의회운영위원장 등 시의원 7명과 경제정의실천연합 등 시민단체 관계자 6명 등 13명은 16일 경주시와 의회를 방문해 경주시의 방폐장 유치를 반대하는 항의문을 전달했다.
이들은 서한문에서 “울산 인구의 90% 정도가 경주시가 방폐장을 유치하려는 월성을 기준으로 30㎞ 안에 거주하고 있으나 원전지원금은 인구가 28만명인 경주시가 챙기고 피해는 고스란히 경주시보다 인구가 4배 가량 많은 울산시민이 입게 된다”며 “핵폐기장 유치를 즉각 철회하라”고 촉구했다.
울산시 등도 경주시에 ‘방폐장 유치반대’ 공문을 보내 “경주시 방폐장 유치 결정에는 울산 시민의 입장은 전혀 반영되지 않았다”며 “방폐장 유치 계획을 중지해 달라”고 요청했다.
이에 대해 경주시는 오는 22일까지 시의회 동의를 거쳐 산업자원부에 방폐장 유치를 공식 신청할 방침이어서 울산시 등과 갈등이 깊어질 것으로 예상된다.
한편, 경주·포항시 등 경북 지역 4개 시·군 등 전국 10여개 자치단체들은 중·저준위 방사성 폐기물 처리장을 유치하면 예상 되는 약 3000억원 규모의 특별 지원금과 연간 50억~100억원 규모의 반입 수수료 수입 혜택을 노리며 저마다 방폐장 유치에 온 힘을 쏟고있다.
울산/ 김광수, 경주/ 박영률 기자 kskim@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