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대강 수질개선 사업인 총인(TP)시설 공사에 참여한 코오롱워터텍㈜이 공무원과 심의위원인 교수 등에게 10억원대 현금을 건넨 사실을 보여주는 문서가 공개되자(<한겨레> 4월18일치 1·4면), 전북지방경찰청은 코오롱워터텍이 전북지역 기초자치단체 4~5곳의 총인시설 공사에 참여한 점에 주목해 수사에 나섰다. 환경부는 현금 살포 의혹에 대한 사실 확인에 들어갔다. 업체가 돈을 뿌렸다고 적은 자치단체 공무원 대부분은 ‘돈을 받은 일이 없다’고 부인했다.
전북경찰청 수사과는 지난해 7월부터 총인시설 관련 비리를 수사해 서울 ㄱ업체와 부산 ㅅ업체가 전북지역 대학교수 등 2명에게 1000만원을 준 혐의를 밝혀내 돈을 받은 2명을 뇌물수수 혐의 등으로 불구속 입건했으며, 이번에 코오롱워터텍이 공무원 등에게 금품을 건넸다는 문서가 공개된 만큼 수사를 확대하겠다고 18일 밝혔다.
전날 우원식 민주통합당 의원이 공개한 문서에는 ‘익산총인’에서 심사위원 1000만원, 지자체 300만원 등 1300만원을 캐시(현금)로 기집행(2010년 말)한 것으로 나온다. ‘정읍총인’에서는 심사위원에게 250만원을 기집행(2011년 7월)한 것으로 나온다. ‘완주총인’도 휴가비 200만원, 준공 관련 200만원, 명절(추석) 200만원 등 600만원을 거래선(환경공단 감독관)을 통해 집행할 계획이라고 돼 있다.
코오롱워터텍은 전북지역 기초단체 두 곳의 하수처리시설 공사에 2011~2012년 참여해 1차 평가를 통과했으나 수주하지는 못했다. 공무원이 결정하는 1차 평가에는 보통 업체 10~20곳이 참여하고, 교수 등 외부 심사위원이 참여하는 2차 평가에는 5곳가량 가운데 수주 업체를 최종 확정한다.
전주/박임근 기자, 전국종합 pik007@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