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내 대형마트와 기업형슈퍼마켓(SSM)의 입지가 포화상태에 이르면서 2010년 이후 증가세가 둔화된 것으로 나타났다.
21일 서울시가 지난해 10월 기준으로 집계한 대형마트 관련 현황 자료를 보면, 2006년까지 38곳으로 늘어난 서울시내 대형마트는 2007년 3곳, 2008년 6곳이 새로 생겼지만 2010년 4곳, 2009년 이후 해마다 2곳씩 느는데 그쳤다. 기업형슈퍼마켓의 경우 둔화세가 더 뚜렸했다. 2006년 이전 53곳이었던 기업형슈퍼마켓은 2007년 18곳, 2008년 26곳, 2009년 86곳이 늘어나는 등 급속한 증가추세를 보였지만 2010년 70곳, 2011년 34곳, 지난해 10월까지 8곳이 늘어나는데 그쳤다.
시내 입지가 포화상태라 증가세가 한풀 꺾인 것으로 보인다. 대형마트와 기업형슈퍼마켓의 수는 이미 전통시장을 넘어섰다. 지난해 10월말 현재 서울시내 대형마트는 57곳, 기업형슈퍼마켓은 295곳 등 모두 352곳으로, 330곳인 전통시장보다 많았다.
자치구별로는 강남·서초·송파의 ‘강남3구’에 대형마트와 기업형슈퍼마켓이 가장 많이 입점해 있었다. 송파구가 32곳, 강남구가 29곳, 서초구가 28곳이었으며, 중구와 종로구, 용산구, 관악구는 4~7곳에 불과했다. 대형마트는 이마트가 23곳으로 시내 대형마트의 40%가량을 차지했고, 기업형슈퍼마켓은 롯데가 104곳으로 35%가량을 차지해 가장 많았다. 전통시장이 많은 구는 중구(31곳), 영등포구(30곳), 종로구(24곳) 등이었다.
박기용 기자 xeno@hani.co.kr
<한겨레 인기기사>
■ [종합] 보스턴 폭탄 테러 사건, 용의자 전원 체포로 종료
■ MB, ‘황제테니스’도 모자라 ‘반값테니스’?
■ 누리꾼, “국정원 은폐 폭로 권은희 지켜라”
■ “안철수가 인물은 인물인데 정치적 입장은…”
■ “오빤 침대 위의 마징가제트야”
■ 홍준표 지사, 휴일 관용차로 동창회 가다가 사고
■ [종합] 보스턴 폭탄 테러 사건, 용의자 전원 체포로 종료
■ MB, ‘황제테니스’도 모자라 ‘반값테니스’?
■ 누리꾼, “국정원 은폐 폭로 권은희 지켜라”
■ “안철수가 인물은 인물인데 정치적 입장은…”
■ “오빤 침대 위의 마징가제트야”
■ 홍준표 지사, 휴일 관용차로 동창회 가다가 사고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