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아차 공장 노동자 등 10만명 빠져…‘반쪽 선언’ 그쳐
경기도가 박근혜 정부 출범 이후 전국에서 처음으로 경제위기 극복을 위해 노사가 협력하는 내용의 ‘노·사·민·정 대타협 선언’을 내놨다. 하지만 주요 대기업 노조가 참여한 민주노총은 배제해 실효성 논란을 낳았다.
경기도는 29일 오전 도청에서 김문수 경기지사, 윤화섭 경기도의회 의장, 허원 한국노총 경기지역본부 의장, 조용이 경기경영자총협회 회장, 김제락 중부지방노동청장, 백남홍 경기도상공회의소연합회 회장이 참가한 가운데 노·사·민·정 대타협 선언문을 발표했다. 이들은 선언문에서 “일자리 창출과 양극화 해소를 위해 노·사·민·정이 노력한다”고 밝혔다. 노동계는 “근로시간 단축을 통한 일자리 나누기에 노력하겠다”는 뜻을 밝혔다.
그러나 기아자동차 화성·광명공장과 현대자동차 연구소 등 10만명 이상의 노조원이 소속된 민주노총 경기도본부는 이 과정에서 완전히 배제됐다. 민주노총 경기도본부 박정호 조직국장은 “유연근무제는 노동자의 임금체계를 뒤흔들고 회사의 필요에 따라 노동자를 쓰겠다는 사업주 위주의 정책으로 노동계가 반대하는 사안이다. 경기도는 그동안 쌍용차 해고노동자들을 위해 노사간 대화 주선 등의 노력조차 하지 않았다. 그러고도 노·사·민·정 대타협이라 할 수 있느냐”고 말했다.
홍용덕 기자 ydhong@hani.co.kr
<한겨레 인기기사>
■ [단독] ‘국정원 댓글’ 동원 의심 수백명 정보, 다음·네이버서 확인
■ 개성공단 7명 왜 남았나
■ 술취해 투신시도 남성 개그맨 정범균이 구해
■ “한달간 죽을 생각만” 했다는데…아무도 몰랐다
■ [화보] 아이 손 꼭 잡아주는 노무현 전 대통령
■ [단독] ‘국정원 댓글’ 동원 의심 수백명 정보, 다음·네이버서 확인
■ 개성공단 7명 왜 남았나
■ 술취해 투신시도 남성 개그맨 정범균이 구해
■ “한달간 죽을 생각만” 했다는데…아무도 몰랐다
■ [화보] 아이 손 꼭 잡아주는 노무현 전 대통령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