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개 지역 시민단체 합동주최
원전폐쇄 요구하고 난개발 성토
탈핵·탈토건 시국선언문 채택
원전폐쇄 요구하고 난개발 성토
탈핵·탈토건 시국선언문 채택
부산에서 벌어지고 있는 각종 개발사업의 중단을 촉구하는 만민공동회가 4일 열렸다. 만민공동회는 1898년 독립협회가 대한제국의 친러시아 정책에 반대하며 거리에서 연 대중집회에서 유래해, 누구나 연단에 나서 자신의 의견을 펼치고 참가자들이 함께 해결에 나설 것을 결의하는 방식으로 이뤄진다.
부산시민단체연대 등 8개 단체는 유엔이 정한 환경의 날(6월5일)을 맞아 “부산의 자연을 보존하지 않고 막개발하는 토목건설 행정에 제동을 걸자”며 4일 오후 2시부터 부산시청 정문 앞에서 ‘난개발 시국선언 만민공동회’를 열었다. 참가 단체 가운데에는 30년 설계수명을 다하고도 10년 더 연장 가동하고 있는 고리원전 1호기 폐쇄 운동을 벌이고 있는 부산반핵대책위원회와 철새도래지 서낙동강에 2018년까지 2만9000여가구의 주거지와 연구시설 등이 들어설 강서구 에코델타시티를 반대하는 시민대책위원회도 포함됐다.
또 현대산업개발 컨소시엄이 호텔 등 상업시설이 함께 들어서는 현대식 요트경기장 재개발사업을 추진하는 것을 반대하는 대책위원회와 부산항 남·북항대교를 연결하는 영도구 고가도로를 반대하고 있는 대책위원회, 신고리 원전에서 생산되는 전기를 수도권에 공급하기 위해 한전이 추진하고 있는 765㎸ 송전탑 건설을 반대하는 대책위원회도 동참했다. 이밖에 주택재개발 지역에 포함됐지만 보상가격이 낮아 원주민들이 쫓겨날 처지에 놓인 만덕5지구 공동대책위원회도 참가했다.
그동안 따로 활동해 왔던 이들 8개 단체가 하나로 뭉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부산시가 지역개발을 명분으로 내세워 밀어붙이고 있는 사업에 대해 각각 대책위를 결성해 집회를 숱하게 열었지만 시가 꿈쩍도 하지 않자 연대의 필요성을 느낀 것이다.
만민공동회는 대책위 관계자나 주민이 나와 5~10분씩 발언을 하는 형식으로 진행돼, ‘탈핵·탈토건 시국 선언문’을 낭독하는 것으로 2시간30분 만에 마쳤다. 발언자들이 막개발을 신랄하게 비판할 때는 청중들이 “옳소” “맞다” 등을 외치며 맞장구를 쳤다.
윤일성 부산참여자치시민연대 도시위원장(부산대 사회학과 교수)은 “수영만 요트경기장 재개발사업은 요트시설과 거리가 먼 각종 상업시설에 너무 치우쳤다. 부산시가 민간개발사업자인 현대산업개발 컨소시엄의 이익을 위해 세금을 낭비하는 특혜를 주고 있다”고 비판했다.
에코델타시티 예정지역 주민 김봉우씨는 “60여년 동안 대저동에서 살았다. 부산시가 대저동 주민들의 의견을 반영하지 않고 밀실에서 에코델타시티를 결정해 우리의 생존권을 강탈하려 하고 있다”고 성토했다.
만민공동회 행사장 근처에는 2년 전 원전 사고 뒤 후쿠시마의 모습과 막개발로 얼룩진 4대강 공사 현장 사진전 등도 열렸다. 또 이훈전 부산경제정의실천시민연합 국장이 ‘동부산관광단지와 센텀시티를 통해 본 도시 난개발’, 구자상 전 부산환경운동연합 대표가 ‘부산시를 탈토건, 탈핵의 도시로’를 주제로 강연도 했다.
김광수 기자 kskim@hani.co.kr
<한겨레 인기기사>
■ 안철수 “대선 출마 안하면 이민가야 할 것 같은 분위기였다”
■ ‘원전 마피아’ 핵심 세력은 서울대 원자핵공학과 출신
■ [단독 화보] 1950년대 서울 명동, 뻥튀기 아저씨, 까까머리 아이...
■ 다시 여왕으로 돌아온 고현정…이번엔 교실이 무대
■ “여긴 이단 김밥집, 절대 가지말라”…한 교회의 횡포
■ 안철수 “대선 출마 안하면 이민가야 할 것 같은 분위기였다”
■ ‘원전 마피아’ 핵심 세력은 서울대 원자핵공학과 출신
■ [단독 화보] 1950년대 서울 명동, 뻥튀기 아저씨, 까까머리 아이...
■ 다시 여왕으로 돌아온 고현정…이번엔 교실이 무대
■ “여긴 이단 김밥집, 절대 가지말라”…한 교회의 횡포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