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완주와 전주 통합해서 광역시가 된다면 환영할 일이지. 그러나 광역시가 안 되면 통합 의미가 없어. 전주시는 지난해 시내버스 파업 때 해결도 제대로 못 했어. 통합해서 완주군이 좋을 게 뭐가 있어?”
지난 7일 오전 11시께 전북 완주군 고산면 버스터미널에서 만난 한 50대 버스기사는 “주민투표(26일)가 끝나면 오히려 지역감정만 더 커질 것”이라고 말했다. 하지만 완주군 봉동읍 버스터미널 앞에서 손님을 기다리던 택시기사 정찬식(50)씨는 “전주가 과거에는 6~7대 도시에 들어 있었다. 지금은 30대 도시에도 못 들어갈 만큼 낙후됐다. 대기업이 들어와야 젊은이들이 다른 곳으로 빠져나가지 않는다”고 말했다.
전주-완주 통합을 위해 26일 실시되는 군민의 주민투표를 앞두고 완주 지역엔 찬반 의견이 팽팽했다. 찬성 여론이 압도적인 전주시는 시의회에서 의결하면 되지만, 완주군은 주민투표로 통합 여부를 결정한다. 두 도시의 통합은 4년 전인 2009년 당시 행정안전부가 실시한 통합 여론조사에서 완주군이 통합 찬성 35.8%, 반대 64.2%로 나와 무산된 바 있다. 하지만 <전북일보>가 5월27일 완주군민 800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통합 찬성 55.6%, 반대 38.5%로 찬성이 높았다.
통합 찬성 쪽은 지역발전을 내세운다. 정완철(65) 용진농협 조합장은 “조합에서 로컬푸드 판매장을 운영하는데 이용객의 70~80%가 전주시민이다. 통합하면 동질감도 느끼고 판매량도 더 늘어날 것”이라고 전망했다. 김광원 완주군민협의회 사무처장은 “통합으로 지역구가 없어져 기반이 흔들릴 정치인과 기득권 세력이 대안도 없이 반대를 유도하고 있다. 전북을 발전시킬 구심점이 필요한데, 가보지도 않고 반대하면 안 된다”고 말했다.
통합 반대 쪽에선 독자 발전론을 제기하고 있다. 농민 구구회(68)씨도 “통합하면 완주군은 뒤치다꺼리나 할 것이다. 혐오시설이 모두 완주로 들어올 것”이라고 우려했다. 통합반대대책위 국영석 상임대표는 “재정자립도가 높은 완주는 독자적 발전 가능성이 전국 3위다. 이 상태로도 좋은데 재정 상태가 나쁜 전주와 통합할 이유가 없다. 두 단체장들이 자신들을 위해 정치쇼를 하는 것”이라고 강조했다.
통합의 첫 관문은 투표율이 33.3%를 넘는 것이다. 전북도선관위 쪽은 “완주군민의 3분의 1 이상이 투표하면 개표가 이뤄지고 그중 유효투표수의 과반이 찬성하면 통합, 그렇지 않으면 부결된다”고 설명했다. 통합이 결정되면 내년 7월 통합 전주시가 출범하게 되며 정부도 인센티브로 3000억여원을 지급한다.
박임근 기자
pik007@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