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민주공원 노조원들이 24일 부산 동구 초량동 민주당 부산시당에서 삭감한 예산의 부활을 촉구하며 농성을 벌이고 있다. 부산민주공원 노조 제공
노조, 민주당 시당서 농성
독재정권에 맞선 부산시민 정신을 기리기 위해 1999년 국·시비 160억원을 들여 세운 부산민주공원의 노동조합이 부산시의회에서 반토막났다가 일부 부활 추진되고 있는 올해 예산을 통과시킬 것을 촉구하며 민주당 부산시당을 점거했다.
민주공원 전체 직원 23명 가운데 노조원 19명은 24일 오전 10시부터 부산 동구 초량동 민주당 부산시당을 점거하고 “민주공원 정상화 민주당이 책임져라” “생존권 위협하는 민주당은 각성하라” 등의 구호가 적힌 팻말을 들고 농성에 들어갔다. 노조는 시민 불편이 없도록 시민교육원 등의 업무는 보면서 농성을 벌였다.
노조는 “지난해 12월 민주공원 예산이 반토막난 뒤, 직원들은 여섯달 동안 급여를 삭감하면서 민주주의 정신과 가치를 기념하고 계승해야 하는 민주공원을 운영하고 있다. 이번에 추가경정예산안이 시의회에서 승인되지 않으면 민주공원은 이미 집행된 반토막 예산을 가지고 올해를 파행적으로 보내야 한다”고 주장했다.
또 노조는 “민주공원 예산 삭감을 진두지휘한 노재갑 시의원(비례대표)의 소속 정당인 민주당 스스로도 민주공원 사태 해결을 위해 민주공원 추가경정예산 편성을 당론으로 채택했으나 이 시간까지 당론을 제대로 실천하지 않고 있다. 민주공원 예산이 또다시 삭감되면 투쟁수위를 더욱 높일 것”이라고 덧붙였다.
민주공원 노조가 민주당사를 점거한 것은 지난해 12월 부산시의회에서 깎인 예산 5억9300만원의 42.1%인 2억5000만원을 부산시가 다시 편성했으나 시의회가 또다시 삭감할 가능성이 있기 때문이다. 특히 노 의원이 또다시 삭감에 앞장설 것이라는 얘기가 나돌자 민주당한테 노 의원을 설득해 달라는 의도가 깔려 있다.
하지만 노 의원의 태도는 완강하다. 그는 이날 <한겨레>와의 통화에서 “위탁기관인 민주공원과 대화를 할 이유가 없다. 예산을 지원하는 시가 왜 추가경정예산안에 삭감한 민주공원 예산을 다시 포함했는지를 물어보고 적절하게 예산이 편성됐는지 따져보겠다”고 말했다. 또 그는 “시민단체에 지원되는 예산이 잘 집행되는지를 감시하는 것이 시의원 본연의 임무다. 시민단체가 야당과 가깝다고 해서 예산안을 제대로 심의하지 않는 것은 직무유기”라고 덧붙였다.
시의회 행정문화위원회는 최근 시가 편성한 2억5000만원을 그대로 통과시켰다. 시의회 예산결산특별위원회는 26~28일 행정문화위원회가 통과시킨 예산안에 심의를 할 예정이다. 예산결산특별위원회에서 이 예산안이 통과되면 다음달 2일 본의회에서 최종 결정된다. 이 때문에 부산민주공원 노조원들은 다음달 2일까지 농성을 계속한다는 방침을 세워두고 있다.
김광수 기자 kskim@hani.co.kr
<한겨레 인기기사>
■ 노무현 전 대통령 ‘NLL 포기’ 발언 없었다
■ 북한이 박 대통령-김정일 위원장 대화록 공개하면 어쩌려고…
■ 국정원, YTN 보도국 회의 내용까지 알고 있었다
■ ‘손 안대고 코 푼’ 중국…스노든, 에콰도르 망명
■ [화보] 서울에 뜬 ‘슈퍼문’
■ 노무현 전 대통령 ‘NLL 포기’ 발언 없었다
■ 북한이 박 대통령-김정일 위원장 대화록 공개하면 어쩌려고…
■ 국정원, YTN 보도국 회의 내용까지 알고 있었다
■ ‘손 안대고 코 푼’ 중국…스노든, 에콰도르 망명
■ [화보] 서울에 뜬 ‘슈퍼문’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