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월 철회한 뒤에도 운항준비 정황
도 “인접 지자체 공동운항 검토”
충남·대전 “수질 오염” 반대 재확인
도 “인접 지자체 공동운항 검토”
충남·대전 “수질 오염” 반대 재확인
충북도가 수면 아래로 가라앉은 것처럼 보였던 대청호 생태탐방선을 다시 추진하기로 했다. 대청호를 식수원으로 이용하는 대전시와 충남도는 수질오염을 우려하며 반대 입장을 밝혀 지자체간 갈등이 불거질 것으로 보인다.
이시종 충북지사가 좌초된 듯했던 탐방선 인양에 앞장서고 있다. 이 지사는 8일 열린 충북도 확대간부회의에서 “일부 지역에서 반대한다고 대청호 생태탐방선 사업을 포기할 수는 없다. 반대하지 않는 나머지 시·도와 수자원공사, 환경부 등을 적극 설득해 다시 추진하자”고 말했다.
충북도가 지난 3월21일 금강수계관리위원회에 냈던 ‘대청호 생태탐방선 운항 계획’을 한달 만인 4월22일 “수질오염을 우려한 환경단체와 대전·충남 쪽 등이 부정적이다”는 이유 등을 들어 스스로 철회한 지 78일 만에 재추진 뜻을 밝힌 것이다.
한경수 충북도 수계관리팀장은 9일 “생태탐방선은 교육 목적이어서 법에서도 허용하고 있고 태양광을 연료로 활용해 수질오염 문제도 없다. 이 지사의 지시에 따라 대전·충남·전북 등 자치단체와 수자원공사 등을 잘 설득해 사업을 추진해 나갈 방침”이라고 말했다.
한 팀장이 생태탐방선 운항 근거로 삼은 환경부의 ‘상수원관리규칙’(10조2)을 보면, ‘상수원 보호구역에서도 생태학습을 위한 교육용 선박은 운항할 수 있다’고 돼 있다. 하지만 환경단체들은 생태탐방선을 운항하다가 유람선으로 이어질 것을 우려하고 있다. 이 지사는 2011년 11월 환경부에 도선(교통선) 운항을 건의했으며, 청원·보은·옥천군은 2010년 9월 대청호 유람선 운항 공동 협약을 한 바 있다. 1979~1983년에는 유람선과 도선 4척이 운항되다가 상수원보호구역으로 묶이면서 중단되기도 했다.
김경중 청주충북환경운동연합 사무처장은 “이 지사가 환경단체는 물론 대청호를 식수원으로 하고 있는 대전·충남 등의 반대를 무릅쓰고 유독 대청호에 배를 띄우는 데 집착하고 있다. 대청호 생태교육이 필요하면 굳이 배를 띄우지 않고도 여러 가지 방안이 있다. 교육용으로 시작했다가 기회를 봐서 돈벌이 용도로 바꾸려는 의도가 숨어 있다”고 꼬집었다.
충북도는 운항 계획 철회 이후에도 탐방선 규모 등을 재검토하는 등 다각적으로 운항을 준비해 온 정황이 곳곳에서 드러나고 있다. 충북도는 애초 해마다 1천억원 안팎씩 조성되는 금강수계관리기금 가운에 40억원을 들여 100인승 태양광 탐방선을 도입한 뒤, 해마다 1억5천만원 안팎을 들여 탐방선을 운행하려 했다. 이를 두고 한 팀장은 “수계관리기금 부담을 줄이려고 70인승(25억원 안팎), 50인승(20억원) 등으로 규모를 낮추는 것을 검토하고 있다. 충북 자체적으로 운항 계획을 내기보다 충남 등 다른 자치단체와 공동 운항하는 것도 추진하고 있다”고 전했다.
하지만 이필영 충남도 환경녹지국장은 “한마디로 반대다. 대청호 식수원에서 탐방선을 띄우는 건 바람직하지 않다고 본다. 배를 띄우면 수질오염 우려가 있다”고 말했다. 최능배 대전시 환경녹지국 맑은물정책과장도 “대전시나 충남도민이 내는 돈(금강수계관리기금)을 특정 지역(충북)에 쏟아붓는 건 문제가 있다. 수질관리에 도움이 되지 않을 게 뻔하다. 금강수계관리위원회 회원 차원에서는 반대할 수밖에 없다”고 밝혔다.
오윤주 전진식 기자 sting@hani.co.kr
<한겨레 인기기사>
■ 막나가는 홍준표 “국정조사 동행명령 거부해도 유죄 안 나더라”
■ 대출·세금 혜택 소외 30대 초반 낀세대 ‘화가 난다’
■ 문재인 “박 대통령, 대선서 국정원 덕 봤다”
■ 아시아나 항공기 사고 당시 탑승객 탈출 영상 추가 공개
■ [화보] 아시아나 항공기 샌프란시스코 공항 착륙 사고 현장
■ 막나가는 홍준표 “국정조사 동행명령 거부해도 유죄 안 나더라”
■ 대출·세금 혜택 소외 30대 초반 낀세대 ‘화가 난다’
■ 문재인 “박 대통령, 대선서 국정원 덕 봤다”
■ 아시아나 항공기 사고 당시 탑승객 탈출 영상 추가 공개
■ [화보] 아시아나 항공기 샌프란시스코 공항 착륙 사고 현장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