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 수원·의정부 2곳 폐쇄키로
‘단기쉼터 4곳 활용’ 대안 내놨지만
규제 심해 청소년들이 입소 꺼려
‘단기쉼터 4곳 활용’ 대안 내놨지만
규제 심해 청소년들이 입소 꺼려
재정위기를 겪는 경기도가 내년도 주요 사업 예산을 삭감하고 있는 가운데, 연간 1300여명의 가출 청소년이 이용해 온 ‘일시보호소’를 폐쇄하기로 해 논란이 일고 있다. 다른 시설이 부족해 의정부 일시보호소에 의존하는 연천, 동두천, 양주 등 경기도 북부지역에 당장 비상이 걸렸다.
경기도는 16일 “가출 청소년들을 위해 운영해온 수원과 의정부의 일시보호소 2곳을 내년 1월1일부터 폐쇄한다”고 밝혔다. 수원 일시보호소의 기능은 안양 단기청소년쉼터로, 의정부 일시보호소는 의정부 이동형 일시보호소로 옮기는데, 일시보호소의 기능을 개선하기 위한 조처라는 게 경기도의 설명이다.
일시보호소란 가출 또는 성폭행과 학교폭력, 자살 시도, 아동 학대 등 긴급 보호가 요구되는 9~19살 청소년들을 24시간 동안 긴급하게 맡아 임시로 보살피는 시설이다. 도 산하 경기도 청소년상담복지센터는 수원과 의정부 2곳에 일시보호소를 설치해 24시간 연중 운영해 왔다.
그러나 일시보호소를 폐쇄하면서 경기도가 대안으로 제시한 도내 단기쉼터 4곳의 경우 이미 가출 청소년들이 까다로운 규제 등을 이유로 입소를 기피해온 터라 경기도의 이런 결정은 현실을 무시한 자의적 결정이라는 지적이 일었다. 특히, 폐쇄되는 의정부 일시보호소를 대신하는 의정부 이동형 일시보호소의 경우, 차량을 이용해 이동하는데다 청소년 상담에 맞춰 운영되는 데라 숙식 등의 일시보호 기능을 맡기에는 부적절하다.
가출 청소년 상담 관계자들은 “연천, 동두천, 양주 등 경기 북부지역에는 쉼터는 물론 일시보호소도 없어 가출 청소년들이 갈 곳이 마땅치 않다. 의정부 일시보호소가 폐쇄되면 마땅히 데려다 보살필 곳이 없게 된다”고 어려움을 토로했다.
경기도 관계자는 예산상의 어려움 때문에 일시보호소를 폐쇄했다는 지적에 대해 “운영비 수천만원 중 일부가 절약은 되겠지만 폐쇄 이유가 예산 삭감 때문만은 아니다”라고 말했다.
홍용덕 기자 ydhong@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