띠녹지 조성·도로 투수포장 추진
여름철 집중호우에 서울 일부가 물에 잠기는 일이 잦지만, 처음부터 그랬던 건 아니다. 아스팔트 바닥 등으로 막혀 땅밑으로 스며들지 못한 빗물이 한꺼번에 저지대로 밀려들기 때문인데, 결국 급격한 도시화의 부작용인 셈이다.
서울시는 28일 도로 침수 등 비 피해를 막는 근본 대책으로 ‘건강한 물순환도시 조성 종합계획’을 내놨다. 빗물이 땅속으로 자연스레 빠지지 못하는 불투수율은 1962년 7.8%에서 2010년 47.7%까지 크게 높아졌다. 지하수가 마르고, 서울시내 9개 주요 하천도 바닥을 드러내게 됐다. 물의 자연스러운 순환을 막으면서 벌어진 일이다.
이런 상황에서 서울시는 2050년까지 지표면에 쌓이는 빗물 620㎜(강우량 기준, 약 3.5억톤)를 지표면 침투와 저류시설 등을 이용해 소화하겠다는 목표를 제시했다. 서울의 평균 강우량(1550㎜)의 40%를 자연스러운 물순환을 통해 관리하겠다는 것이다. 2013년 현재 이렇게 소화되는 빗물은 5.6㎜(300만톤)에 불과하다.
서울시는 이를 위해 앞으로 콘크리트와 아스팔트, 화강석 포장으로 뒤덮인 도로에 띠녹지를 조성하고 빗물이 유입될 수 있는 자연스러운 지형을 만들 계획이다. 보도와 주차장 등에는 물이 잘 스며들도록 투수포장을 단계적으로 확충해 나간다. ‘빗물관리에 관한 조례’ 개정을 추진해 다음달 중 시의회에 상정할 계획이다.
또 재개발·재건축 등 주요 개발사업에서는 빗물 유출을 최소화하는 저영향 개발을 도입한다. 개발업자들이 물순환에 대한 사전협의를 유관 기관과 이행할 것을 의무화하는 ‘저영향개발 사전협의 제도’는 이르면 내년 2월 초부터 시행될 예정이다. 한편 지난해 9월 논란이 됐던 빗물세는 당분간 도입하지 않기로 했다.
박보미 기자 bomi@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






![[사설] 노동자 안전 뒷전 중대재해법 후퇴가 민생 대책인가 [사설] 노동자 안전 뒷전 중대재해법 후퇴가 민생 대책인가](http://flexible.img.hani.co.kr/flexible/normal/300/180/imgdb/child/2024/0116/53_17053980971276_20240116503438.jpg)

![[올해의 책] 숙제를 풀 실마리를 찾아, 다시 책으로 ①국내서 [올해의 책] 숙제를 풀 실마리를 찾아, 다시 책으로 ①국내서](http://flexible.img.hani.co.kr/flexible/normal/800/320/imgdb/original/2023/1228/20231228503768.jpg)
![[올해의 책] 숙제를 풀 실마리를 찾아, 다시 책으로 ②번역서 [올해의 책] 숙제를 풀 실마리를 찾아, 다시 책으로 ②번역서](http://flexible.img.hani.co.kr/flexible/normal/500/300/imgdb/original/2023/1228/20231228503807.jp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