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상선 충남시민재단 추진위원장
울림마당
우리에게 민간단체(또는 조직)는 자발성에 기초한 상호부조라는 역사적 맥락으로 기억된다. 일제강점기와 개발독재기엔 국가권력이 개입하면서 국민의식 개혁, 계몽운동 등의 이름으로 주민을 통제와 관리, 동원의 대상쯤으로 여기기도 했다. 통치적 효율성이란 전근대적 농단이 작동돼온 측면이 강하다.
지난한 민주화, 1987년 6월 이후 분화·세분화 과정 등을 통해 자생성에 기반을 둔 ‘사회변혁’의 한 축으로 자리매김한 소위 엔지오(NGO), 시민단체의 위상과 그에 대한 이해와 평가도 한 갈래를 이룬다. 시민운동의 성과는 이익단체와 다른 공공재라는 것이다. 그 편익은 특정 그룹에 한정되지 않고 불특정 다수가 공유한다. 그럼에도 감시와 비판이라는 기능에 다가갈수록 기득권 구도에선 불편해하고, 정파와 이념의 잣대를 예사로 들이대기도 한다.
정부기관의 간섭이라는 관행, 사회적 편견과 기업이 사회성을 기피하는 환경은 시민사회의 약화를 초래해 바람직한 거버넌스(협치)를 지체시킨다. 이런 관점에서 충남의 사회 지형은 훨씬 취약한 것으로 평가돼왔다. 민주적 지방자치에 대한 기대에 미치지 못하고 보수 정서와 더불어 관료적 권위주의 관행과 토호 자치성의 한계가 드러나고, 지역사회의 주체인 주민은 주인의식과 역량 강화에 소홀했다. 심지어 주민자치의 핵심 가치인 참여와 소통을 위한 상식적인 정책과제마저 특정인의 브랜드인 양 당파성의 매도가 버젓이 이뤄지는 상황까지 보인다.
2013년 내포를 중심으로 새 충남도청 시대가 열리면서 부정적 현상 극복과 변혁이란 과제는 주민의 자치역량 강화, 시민사회의 활성화와도 밀접하게 연계돼 있음을 인식하고 자생적 시민사회를 매개로 한 적극적인 역할을 찾아나섰다. 뜻을 모으고 타 지역의 선례를 참고하는 등 나름 오랜 학습과 숙의 과정을 거쳐 사단법인 형식의 ‘충남시민재단’ 창립을 앞두고 있다.
지역 시민사회 자원의 발굴과 역량 강화, 주민의 주권의식 제고, 참여와 소통 및 협력을 통한 충남 민간 영역의 확장으로 충남이란 지역사회가 한층 성숙한 민주화의 장으로 당당하게 설 수 있기를 염원해왔다. 이를 위한 중간지원 기능을 할 충남시민재단의 성패는 결국 지역 주민의 수용성에 달려 있다.
이 시기, 상호부조라는 의미를 넘어 성숙한 기부문화의 확산, 사회적 책임과 배려, 적극적인 관심과 참여가 더욱 절실하다. 시대의 열망을 담아 함께 꿈꾸고, 그 꿈을 실현하기 위한 길을 함께 가자. 충남시민재단 문의 (070)7782-3254.
이상선 충남시민재단 추진위원장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






![[사설] 노동자 안전 뒷전 중대재해법 후퇴가 민생 대책인가 [사설] 노동자 안전 뒷전 중대재해법 후퇴가 민생 대책인가](http://flexible.img.hani.co.kr/flexible/normal/300/180/imgdb/child/2024/0116/53_17053980971276_20240116503438.jpg)

![[올해의 책] 숙제를 풀 실마리를 찾아, 다시 책으로 ①국내서 [올해의 책] 숙제를 풀 실마리를 찾아, 다시 책으로 ①국내서](http://flexible.img.hani.co.kr/flexible/normal/800/320/imgdb/original/2023/1228/20231228503768.jpg)
![[올해의 책] 숙제를 풀 실마리를 찾아, 다시 책으로 ②번역서 [올해의 책] 숙제를 풀 실마리를 찾아, 다시 책으로 ②번역서](http://flexible.img.hani.co.kr/flexible/normal/500/300/imgdb/original/2023/1228/20231228503807.jp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