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진2 이어 태평2·4구역
전국 최대 규모의 재개발 사업을 추진하던 경기도 성남시가 장기간 사업 추진이 불투명해진 사업지구에 대해 정비구역 지정을 해제하고 대안 마련에 나섰다.
성남시는 2단계 도시정비사업 예정구역 가운데 수정구 태평2·4구역(28만2284㎡)에 대해 주거환경개선사업 정비구역 지정 해제 안건을 8일 열리는 도시계획위원회 회의에 상정했다고 6일 밝혔다. 구역 지정이 해제되면 개별적인 건물 신·증축이 가능해진다. 구역 지정 해제는 지난 7월 수진2구역(주택재개발사업 정비구역)에 이어 두번째다.
2009년 4월 주거환경개선사업 정비구역으로 지정된 태평2·4구역은 전면 철거 방식에 따라 자치단체나 공기업이 토지를 사들여 주택을 건립해야 한다. 그러나 보상비 2조7000억원을 포함해 4조원에 이르는 사업비를 감당할 시행자가 나서지 않아 사업 추진이 막혀 있었다. 최근 한국토지주택공사(LH)가 부동산 경기 침체 등을 이유로 사업 불참을 통보한데다 성남시도 자체 재원을 조달할 수 없어 결국 사업 중단을 선택한 것이다.
시는 정비구역 지정 해제를 위해 두 차례 주민 의견조사를 시행했지만 설문지 회수율(25%)이 낮아 ‘도시 및 주거환경 정비법’에 따라 시 도시계획위에 구역 지정 해제 안건을 올렸다. 대신 시는 전반적으로 도시 재생 방식을 종전의 철거 중심에서 관리·보존·개량 중심으로 전환할 방침이다.
한편 2008년 2단계 재개발구역으로 지정된 신흥2·중1·금광1 등 3개 구역은 지난 17일 시가 발표한 정상화 방안에 따라 계속 사업이 추진된다. 성남시 관계자는 “이번 지정 해제는 도시재생사업 자체를 포기하는 게 아니라 정비구역 지정 상태로 장기 방치된 지역의 주거환경을 현실적으로 개선하려는 조처”라고 설명했다.
김기성 기자 player009@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