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업시행자 공모응찰 1곳도 없어
국방부와는 건물배치 놓고 ‘삐걱
국방부와는 건물배치 놓고 ‘삐걱
충북경제자유구역 충주에코폴리스 개발 사업이 꼬이고 있다. 사업시행자 공모에 한곳도 응하지 않은데다 국방부가 인근 공군부대의 비행 안전, 주민 안전 등을 이유로 건축물 배치 제한 등을 요구하고 있기 때문이다.
충주 에코폴리스는 지난 8월16일부터 10월24일까지 사업시행자를 공모했지만 한곳도 응하지 않았다고 7일 밝혔다. 이에 충주에코폴리스는 연말까지 자체적으로 개발 방안을 마련한 뒤 내년 상반기에 시행자를 재공모할 참이다. 충주에코폴리스지구는 충주시 가금면 가흥·장천리 일원 419만6000㎡로 2월8일 지정됐다. 충북도와 충주시 등은 2020년까지 6591억원(국비 426억원, 지방비 427억원, 민자 5738억원)을 들여 바이오휴양, 자동차 부품, 환경·신재생에너지 산업단지를 조성할 계획이다.
하지만 지구 지정 이후부터 인근 공군 19전투비행단의 비행 안전과 소음 등이 발목을 잡아왔다. 충주에코폴리스지구 부지의 88%(370만㎡)가 비행 안전 2~6구역에 해당돼 건축물 고도 제한을 받는다. 2구역은 152m, 4·5구역은 45m, 6구역은 45~106m의 건축물 높이 제한을 받는다. 또 지구 전체의 92%(386만㎡)는 공항소음 대책 지역이다. 주거·교육·공공시설 등을 지을 수 없는 2종 지역(91~95웨클)이 51만9596㎡(12.4%), 방음시설을 갖춘 뒤 건축이 허용되는 3종 지역(75~90웨클)이 333만9567㎡(79.6%)다.
국방부와 충주에코폴리스 쪽은 3월부터 지구 개발 관련 협의를 진행하고 있지만 접점을 찾지 못하고 있다.
충북경제자유구역청 충주지청 개발지원팀 성원영씨는 “국방부 쪽이 비행 안전 등을 이유로 건물 배치, 고도 제한 등을 일방적으로 주장하면서 협의가 제대로 이뤄지지 않고 있다. 건물 배치 등은 사업시행자가 정해진 뒤 실시계획 단계에서 조정해야 하는 문제인데 국방부 쪽이 조금 앞서가고 있어 당혹스럽다”고 말했다.
하지만 국방부 관계자는 “지구 지정 단계에서 관계 부처 협의를 해야 하는데 산업통상자원부 등이 국방부 쪽을 빠뜨리면서 문제가 시작됐다. 비행 안전은 물론 주민 안전과 관련해 우려되는 부분이 있어 문제를 제기하는 것이다. 지속적으로 협의를 하겠지만 비행 안전, 주민 안전, 작전계획 또한 간과할 수 없는 중요한 문제”라고 밝혔다.
오윤주 기자 sting@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