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거구획정위 ‘유지’ 의견도
시의회 심의서 왜곡 가능성
현행 ‘4인 선거구’ 둘로 쪼개면
새누리당 성향 후보 독식 우려
시의회 심의서 왜곡 가능성
현행 ‘4인 선거구’ 둘로 쪼개면
새누리당 성향 후보 독식 우려
대구지역 야당과 시민단체들이 기초의원 4인 선거구를 지켜야 한다고 한목소리를 내고 나섰다.
민주당·정의당 대구시당은 18일 “중선거구를 운영하면 다양한 정치 성향의 후보들이 당선될 수 있다. 따라서 정당공천 여부와 관계없이 기초의원 4인 선거구를 유지해야 한다. 중선거구를 2인 선거구로 쪼개면 새누리당이나 새누리당 성향 후보들이 기초의회를 독식해 같은 성향의 구청장을 견제하기 어렵게 된다”고 밝혔다.
조광현 대구경제정의실천시민연합 사무처장도 “4인 선거구를 유지해야 참신하고 젊은 정치신인들의 기초의회 진입이 수월해진다. 중선거구제는 시장, 시의원, 구청장 등을 새누리당이 독식하는 대구지역에서는 반드시 필요하다”고 말했다.
이에 앞서 대구시 자치구·군의원 선거구획정위원회는 지난달 2차례 회의를 열어 대구지역 기초의원 선거구를 4인 선거구 11곳, 3인 선거구 15곳, 2인 선거구 6곳 등 32곳으로 하기로 의견을 모았다. 선거구획정위는 29일 3차 회의를 열어 안을 확정한 뒤, 다음달 4일께 대구시의회에 넘길 예정이다. 대구시의회는 심의를 거쳐 내년 2월21일까지 기초의원 선거구를 확정한다.
그러나 대구지역 정가에서는 4인 선거구 11곳이 2인 선거구로 나눠질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보고 있다. 대구시 관계자는 “대구를 제외한 광역시에는 4인 선거구가 거의 없는 것으로 안다. 따라서 대구의 4인 선거구는 분리될 가능성이 높다”고 말했다. 대구시의회는 2010년에도 야당과 시민단체들의 거센 반발에도 4인 선거구 12곳을 2인 선거구로 나눈 바 있다.
대구에서는 시장과 구청장·군수 8명 모두가 새누리당 소속이고, 시의원도 정당 소속 없는 교육의원을 제외한 29명 모두 새누리당이다. 또 8개 구·군의회 기초의원 116명 가운데 야당은 10여명에 불과하다.
구대선 기자 sunnyk@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