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위 득표자에 공동감독 제안했다
거절당하자 2위 프랑스 작가 선임
시민단체 “선출방식 멋대로” 반발
거절당하자 2위 프랑스 작가 선임
시민단체 “선출방식 멋대로” 반발
부산비엔날레 전시감독 선임을 둘러싼 논란이 확산되고 있다.
2일 부산시와 부산비엔날레 조직위원회의 말을 종합하면, 지금까지 부산비엔날레 조직위는 외부 전문가 등이 참여하는 선정위원회를 통해 전시감독을 직접 선출했다. 하지만 선정위원들이 수백명의 후보자를 면밀하게 검증하는 것이 어렵다고 판단해 내년 9월20일~11월22일 열리는 8회 전시회의 전시감독은 운영 규정에 없는 추천위원회를 꾸려 선정했다.
이에 따라 부산비엔날레 전시감독을 지냈던 3명 등 4명으로 꾸려진 추천위는 240여명의 국내외 전시감독 후보자를 선별한 뒤 30명의 후보자를 먼저 뽑았다. 그런데 30명 가운데 국외 출신이 70%를 차지하고 지역 미술인이 1명도 없자 오광수 운영위원장 등 3명은 2명씩 6명의 후보자를 추가로 추천했다.
국내 15명과 국외 21명 등 36명의 후보자를 넘겨받은 선정위는 9월과 10월 두 차례 회의를 열어 전시기획서를 제출한 7명 가운데 5명을 뽑아 이들을 대상으로 선정위원 9명이 투표를 했다. 개표 결과 오 운영위원장 등 3명이 추가로 추천한 6명 가운데 3명이 나란히 1~3위를 차지했다. 전시감독을 지낸 전문가가 추천한 김아무개씨가 5표로 1위, 한 선정위원이 추천한 프랑스 작가와 국내 작가가 2위와 3위를 차지했다. 선정위는 이들 3명을 전시감독 최종 후보자로 운영위원회에 넘겼다.
운영위는 1위를 차지한 김씨와 2위를 차지한 프랑스 작가한테 공동감독을 제의했으나 김씨가 거부하자 프랑스 작가를 내년 전시회의 전시감독으로 지난달 29일 확정했다.
이에 대해 부산 지역 25개 미술·문화단체로 꾸려진 부산문화연대는 “조직위가 갑자기 1인감독 방식을 2인감독으로 바꾸고 추천위가 6명을 추가로 추천하는 등 투명하지 못한 행정을 펼치고 있다”며 1인시위 등을 계속 벌일 태도다.
오 운영위원장은 “국제 미술축제인 부산비엔날레를 세계적 수준으로 도약시키려면 공동감독 체제가 효율적이라고 판단했다”고 말했다. 부산시 관계자는 “운영위가 규정을 위반한 것은 아니지만 불필요한 오해를 사지 않기 위해 전시감독 추천과 선정 방법 등의 규정을 새로 둬야 한다”고 말했다. 부산비엔날레는 2000년부터 2년마다 국비와 시비 30여억원을 지원받아 열리는 지역 최대 미술축제다.
김광수 기자 kskim@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