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청, 4~6학년 대상 시험
교사 87%가 “부정적”
전교조 “일제고사” 폐지 요구
교사 87%가 “부정적”
전교조 “일제고사” 폐지 요구
충북도교육청이 자체 시행한 ‘학력수준 판별 검사’를 놓고 충북교육연대와 도교육청이 뚜렷한 태도 차이를 보이는 등 논란을 빚고 있다. 충북도의회 교육위원회가 내년 관련 예산을 전액 삭감했지만 교육청은 재추진 뜻을 보이고 있다.
이 검사는 교육청이 올해 초 도내 초등 4~6학년의 학력 수준을 알아보려고 도입했다. ‘제학년 제학력 갖추기’(제주), ‘도 학업성취도평가’(충남) 등 전국 교육청 6곳에서 시행하고 있는 자체 평가를 본보기로 했다. 도교육청은 충남대 응용과학측정연구소에 문제 출제와 분석을 맡겼으며, 지난 6일 첫 시험을 치렀다. 학습도 분석 결과는 16일 나온다.
오은주 충북도교육청 교수학습지원과 초등장학 담당 장학사는 9일 “기초학력이 떨어지는 부진아들과 중·상위 학생들의 학습 능력을 동시에 알아보고 개선하려고 도입했다. 개인에게만 통보되고 학교별 수준은 공개하지 않아 전국 단위 기초학력평가와 다르다”고 밝혔다.
하지만 전국교직원노동조합 충북지부 등 충북지역 단체 24곳이 참여하고 있는 충북교육연대는 이 검사가 ‘도 단위 일제고사’라며 폐지를 주장하고 있다. 전교조 충북지부가 최근 충북지역 초등학교 4~6학년 교사 634명을 대상으로 벌인 설문조사를 보면, 552명(87%)이 이 판별 검사에 부정적이었다. 이들 교사는 교육과정 파행, 교사의 평가권 박탈, 갑작스런 시행 등을 이유로 들었다. 교사들은 이 검사 때문에 ‘수업시간 문제풀이’(22.9%), ‘과제·아침 자습시간 문제풀이’(25.7%), ‘보충수업’(10.6%) 등 파행적 교육이 이뤄지고 있다고 밝혔다. 박을석 충북교육연대 집행위원장은 “학교는 비공개로 한다지만 언제든 공개할 것이고, 설사 공개하지 않더라도 교육청이 학교장 등을 평가하는 내부 자료로 쓸 수 있기 때문에 공개와 같은 효력을 낼 수밖에 없다. 학교 현장의 파행 교육이 그 증거”라고 말했다.
절반 이상의 학교가 이 검사를 2학기 기말고사로 대체하고 있는 것도 문제로 꼽혔다. 박 집행위원장은 “객관식 25문항짜리 시험이다. 현행 교육에서 강조하는 사고력, 의사소통 능력, 창의력과는 동떨어진 것으로 획일화된 지식만을 요구한다. 당장 폐지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충북도의회 교육위원회는 최근 충북도교육청이 제출한 내년 학력수준 판별 검사 관련 예산 2억2500만원을 전액 삭감했다.
오 장학사는 “전교조 쪽의 설문은 객관성이 떨어진다고 본다. 겨울방학 전 교사·학생·학부모 등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벌인 뒤 반응이 좋으면 추경 때 예산을 반영해 재추진하는 것을 검토해볼 방침”이라고 말했다.
오윤주 기자 sting@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