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 부산서 민관군경 참가
원전 사고로 유출된 방사선이 퍼진 위치와 농도를 신속히 파악하는 대규모 합동훈련이 처음으로 부산에서 실시된다.
부산시는 “12일 오후 1시30분부터 다음날 오후 2시까지 부산 전역에서 민·관·군·경 합동 환경방사선 탐지훈련을 한다”고 11일 밝혔다. 이번 훈련은 원전 사고 때 대피명령을 내려야 하는 지역을 정확히 잡아내는 역량을 키우기 위한 것이다. 부산 기장군 고리원전 1호기의 사고가 잇따르자 이번 훈련을 하게 됐다는 게 부산시의 설명이다. 고리원전 1호기는 이미 30년짜리 설계수명이 끝났는데도 2017년까지 연장 가동하고 있어 시민들의 불안이 크다.
이번 훈련은 부산시와 부산의 16개 구·군, 육해공군, 경찰, 고리원자력본부 등 28개 기관이 참가한다. 부산시가 훈련을 총괄하고 부산의 16개 구·군은 시가 지급한 휴대용 계측기를 이용해 방사선을 탐지한다. 육해공군은 화생방 정찰차량과 시가 지급한 이동용 감시기를 이용해 기장군 등 방사선 유출 검사가 신속히 이뤄지기 어려운 지역을 탐지한다.
남해지방해양경찰청은 고리원전으로부터 반지름 10㎞ 안의 동해와 남해 해상, 고리원자력본부는 원전 시설로부터 2㎞ 안의 육상을 탐지한다. 부산지방경찰청은 헬리콥터를 이용해 고리원전 일대 공중의 방사선 농도를 측정한다. 울산 울주군, 경북 울진군·경주시는 방사선 감시 차량을 가져와 지원한다.
원전이 있는 부산·울산·전남·경북 등의 지방자치단체와 원전을 운영하는 한국수력원자력㈜ 등은 방사선 유출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 대피 중심의 합동훈련을 4~5년마다 해왔다.
부산/김광수 기자 kskim@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