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남 창원시가 건설하고 있는 마산해양새도시 조감도. 창원시 제공
고층아파트·상업시설 대부분 취소
환경단체 “태풍에 취약…백지화를”
환경단체 “태풍에 취약…백지화를”
국내 최초로 경남 창원시 마산앞바다에 인공섬을 만들어 조성할 예정인 마산해양새도시의 개발 방향이 문화·관광 중심으로 바뀌었다.
경남 창원시는 11일 “마산해양새도시를 동북아 국제업무·관광·문화의 거점으로 발전시키겠다”고 밝혔다.
창원시 발표 내용을 보면, 마산해양새도시 개발 면적은 애초 112만2000㎡에서 63만㎡로 절반가량 줄었다. 이에 따라 1만가구 아파트 건설 계획이 500여가구로 감소하는 등 고층 아파트와 대형 상업시설 건설 계획이 대부분 취소됐다. 대신 국제회의, 복합 해양문화, 국제의료단지, 해양레저, 연구개발단지, 해변공원, 해변상가 등 7대 핵심 기능 중심으로 개발하기로 했다.
시는 2017년 말까지 공사를 끝내고 분양은 2016년 시작해 2018년 말 마칠 계획이다. 공사비는 분양금 2206억원, 시비 1296억원 등 3502억원이다.
시 해양사업과 담당자는 “시민·환경단체들의 마산만 매립 반대 주장, 마산지역 기존 상권과의 상생발전 등을 고려해 계획을 대폭 축소했다. 앞으로 10년 뒤인 2023년께는 마산해양새도시가 침체된 마산 원도심은 물론 시 전체를 이끌어나갈 미래성장 동력원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하지만 창원지역 시민·환경단체들로 이뤄진 창원물생명시민연대는 이날 창원시청 브리핑룸에서 기자회견을 열어 “마산해양새도시 사업은 아랫돌 빼서 윗돌 괴는 사업이다. 지금까지 많은 예산과 노력을 들여 진행하고 있는 원도심 재생사업을 무용지물로 만들 것”이라며 사업 취소를 요구했다. 감병만 마산·창원·진해 환경운동연합 사무국장도 “경제적 문제는 둘째 치더라도 2003년 태풍 매미처럼 큰 태풍이 왔을 때 어떻게 재난을 막을 것이냐”고 지적했다.
마산해양새도시는 마산항 항로 준설과 마산가포신항 건설 과정에서 발생하는 흙을 처리하기 위해 계획된 것이다. 육지에서 70m가량 떨어진 마산앞바다에 건설하고 있는 인공섬이다. 10일 현재 33%의 공정률을 보이고 있다.
최상원 기자 csw@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