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북 시민단체 “비리 밝혀 환수해라”
전북지역 시민사회단체 등이 전주 시내버스 외부광고 수익금 운영이 불투명하다며 문제 해결을 촉구하고 나섰다.
전북노동연대 등 40여개 단체로 꾸려진 ‘버스 파업 해결과 완전공영제 실현을 위한 전북지역 시민사회단체 대책위’(대책위)는 17일 “전북도·전주시 버스 홍보계획 자료를 보면, 전주 시내버스 회사가 지난 11년(2002~2012년) 동안 최소 70억원에 이른 시민 세금을 중간에서 착복했음이 드러났다”며 “이는 외부광고에만 해당해 버스 안 음성(소리)광고와 내부광고를 포함하면 100억원을 넘길 것으로 추정된다”고 주장했다.
대책위는 “전주시는 밝혀진 광고비 비리 액수에 해당하는 금액을 보조금 지급에서 빼고, 비리 금액만큼을 버스회사로부터 환수해야 할 것”이라고 촉구했다.
앞서 전주시의회 오현숙 의원은 “전주시에 제출한 버스회사의 회계자료 등을 분석하면, 전주 시내버스 1대당 광고료가 한달에 5만2000원 정도로 계산되지만, 전북도·전주시에 요청한 자료를 분석하면 1대당 30만원 이상인 것으로 나타났다. 차액을 계산하면 버스회사들은 지난 11년 동안 70억원을 누락시킨 것으로 풀이된다”고 주장한 바 있다. 오 의원은 “(종전 수의계약으로 이뤄지는) 전주 시내버스 외부광고 입찰방식 때문에 광고 수익금이 누락되고 있다는 의혹이 현실로 나타나고 있다”고 주장했다.
전주시는 이에 대해 “전주시내버스 공동관리위원회와 버스회사 쪽에 버스 외부광고를 공개입찰 방식으로 바꿀 것을 요청하는 공문을 보냈고, 2014년부터 2016년까지 3년간 공개입찰 방식으로 하겠다는 답을 최근 받았다”고 밝혔다.
박임근 기자 pik007@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