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주문화진흥재단 자료공개
세종대왕이 충북 청원군 내수읍 초정리에 행궁을 짓고 123일 동안 요양하며 한글 창제에 몰두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청주시문화산업진흥재단이 20일 밝힌 ‘세종대왕 초정 행궁 123일 비밀’ 관련 자료를 보면, 세종대왕은 1444년 2월 초정에 행궁을 짓게 한 뒤 3월과 9월 두차례에 걸쳐 다녀갔다. 이 자료는 조혁연 충북도 문화재전문위원 등이 문헌 추적 형태로 분석했다. <세종실록>을 보면 세종이 안질·욕창 등으로 고생하자 대신들이 초정행을 권했으며, 한양~영남대로~죽산~진천~초정 등의 경로를 5일에 걸쳐 이동해 초정에 다다랐다. 세자(훗날 문종)와 영흥대군, 안평대군 등과 동행하기도 했다. 신숙주·최항·이사철·이개 등 대신들도 동행했으며, 세조도 초정을 방문했다는 기록이 있다.
초정 행궁은 1448년 불이 나 사라졌다. 조 위원은 <신증동국여지승람>에 초정원 옆에 행궁이 있었다는 기록에 따라 행궁 위치를 지금의 초정약수터 주변으로 추정했다. 이곳은 세계 3대 광천수로 불리는 초정 약수가 지금도 나오는 곳이다. 조선 후기 이규경이 지은 <오주연문장전산고>를 통해 세종 당시의 초정 약수의 규모(직경 8척, 2.4m)와 물의 빛깔(푸른색), 형태(용출형) 등을 추정했다. <세종실록>에는 세종이 ‘청주목 백성들이 나 때문에 고통받는다. 집집마다 벼 2섬을 무상으로 전달하라’고 한 것과 ‘어가 행차 시 훼손된 논밭을 쌀·콩으로 보상하라’는 초정 주민 관련 기록도 남아 있다.
조 위원은 “세종대왕은 초정에서 몸을 요양하기도 했지만 당시의 시대적 과제이던 한글 창제에 몰두했다. 또 자신의 행차로 불편을 겪은 주민을 어루만지는 자상함까지 발휘하는 등 초정에는 세종이 지닌 성군의 풍모까지 두루 남아 있다”고 말했다.
오윤주 기자 sting@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