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상곤 교육감 신년간담회
“공교육의 전형을 확립하겠다”
“공교육의 전형을 확립하겠다”
김상곤 경기도교육감이 22일 “올해 도내 전체 학교의 절반이 혁신학교 프로그램을 공유하는 등 혁신학교를 일반화하겠다”고 밝혔다.
김 교육감은 이날 도교육청에서 신년 기자간담회를 열어 “올해 도내 전체 학교의 50%가 혁신학교 프로그램을 공유하도록 하겠다. 이와 함께 창의지성형 교육과정을 심화하며, 민주적 학교 공동체를 활성화해 긍극적으로 공교육의 전형을 확립하겠다”면서 이렇게 말했다. 그는 이어 “학교 현장에서 스트레스와 심리적 갈등으로 어려움을 겪는 교사들을 위해 권역별로 힐링센터를 설치해 교권 보호에 나서겠다”고 덧붙였다.
김 교육감은 또 최근 교학사 교과서 파동 등을 통해 드러난 ‘교육의 정치화’에 대한 우려를 표시하면서, “정치적 중립 원리 아래 교육의 백년대계를 다룰 ‘국가교육위원회’를 설치하자”고 제안했다. 그는 “정부가 ‘누리과정’을 무상교육화하면서 그 부담을 시·도교육청에 떠넘기고 있다. 경기도의 경우 내년에만 1조2000억원을 부담해야 한다. 이는 전체 예산의 10%가 넘어 혁신교육에 큰 부담이 된다. 국회와 정부가 적극적으로 나서 해결해야 한다”고도 했다.
김 교육감은 올해 하반기부터 소규모 초등학교들을 묶어 학교 행정을 지원하는 학교행정센터를 도입해 시범운영하고, 학교 현장 지원을 위해 도교육청과 시·군교육청의 조직을 개편하겠다는 방침도 내놨다. 사업 공모도 기존의 학교별 공모 방식에서 벗어나 도교육청이 제시한 20~30여개의 사업 가운데 각 학교가 원하는 사업을 선택해 추진하는 ‘학교별 사업선택제’도 시행한다.
홍용덕 기자 ydhong@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