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8일 개소·5개 부처 합동운영
사고예방·수습복구 지원
광주·전남·제주까지 관할
사고예방·수습복구 지원
광주·전남·제주까지 관할
가스 누출 사고가 잦은 여수국가산업단지 안에 정부 5개 부처가 합동으로 운영하는 화학재난 방재센터가 문을 연다.
여수 화학재난 합동방재센터는 오는 28일 여수시 봉계동 진남아트센터 3~4층에 사무실을 두고 포스겐·암모니아 등 유독가스 누출과 톨루엔·벤젠 등 화학물질 유출 등 사고를 예방하고, 사고가 터지면 수습과 복구를 지원하는 활동에 들어간다.
이 센터는 3~4개 기관으로 흩어져 있던 화학물질의 관리업무를 통합해 일원화함으로써 사고를 미리 예방하고, 사고 발생에 대비해 주민대피 훈련을 하는 기능을 맡게 된다. 방재센터는 광주, 전남, 제주를 관할하지만, 업무 효율을 고려해 대규모 화학공장이 밀집해 있는 여수국가산단 들머리에 설치된다.
이 센터에는 환경·노동·산업·안전·소방 등 5개 분야의 직원 40명이 배치된다. 환경부와 고용노동부를 비롯해 산업통상자원부 산하 가스안전공사와 소방방재청에서는 이미 직원을 파견했다. 안전행정부의 요청을 받은 전남도와 여수시도 곧 직원을 보낼 예정이다.
센터 안에는 상황실을 비롯해 △사업장 안전점검팀 △가스사고 원인조사팀 △사고현장 수습조정팀 △환자이송과 화학구조팀 △주민대피와 복구지원팀 등 5개 팀이 운영된다.
여수시 산단지원과 강석재씨는 “한 단계 진전된 재난대응체계를 구축했다. 각종 위험 정보를 공유해 피해 예측을 과학화하고 주민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을 것으로 보고 있다. 사업장과 지역민이 두루 반기고 있다”고 말했다.
앞서 여수시는 2004년부터 20차례 넘게 합동방재센터의 설치가 필요하다고 정부에 건의했다. 시는 유해물질을 취급하거나 공장설비가 노후해진 화학산단의 주요 지점에 실시간 누출·유출을 감시할 수 있는 센서를 설치하고, 사고 발생 때 상황을 신속하게 전파해 주민을 대피시킬 수 있는 체계를 갖추어야 한다고 줄기차게 요구해왔다.
정부는 2012년 구미지역의 불산 누출과 2013년 여수지역의 가스 폭발 등 사고가 잇따르자 방재센터 설치에 관심을 보였다. 정부는 지난해 7월 안전정책조정회의를 열고 여수, 시화, 서산, 익산, 구미, 울산 등 6곳에 화학재난 합동방재센터를 설치하기로 했다.
언제 터질지 모르는 화약고로 불리는 여수국가산단에서는 1970~2012년 287건의 크고 작은 사고가 발생해 116명이 숨지고 202명이 부상한 바 있다.
안관옥 기자 okahn@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