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활용 늘며 소각용 쓰레기 줄어
5개 시군 이용 소각장 운영난
이천시, 타지역 쓰레기 반입 추진
5개 시군 이용 소각장 운영난
이천시, 타지역 쓰레기 반입 추진
쓸모없고 더러운 것으로만 취급받던 쓰레기가 ‘귀하신 몸’이 됐다. 재활용률 증가 등으로 양이 줄어들면서 쓰레기를 태워 만든 에너지를 팔아온 소각장이 운영에 어려움을 겪고 있기 때문이다.
6일 경기도 이천시 등의 말을 종합하면, 2008년 이천을 비롯해 경기도 광주와 하남, 여주, 양평 등 5개 시·군은 910억원을 공동 투자해 이천시 호법면 안평3리 11만4644㎡ 터에 광역자원회수시설을 만들었다. 이 시설은 하루 300t(150t/일×2기, 스토커 방식) 규모의 생활쓰레기를 처리할 수 있다.
그런데 문제는 이 시설의 현재 하루 평균 반입량이 215t에 불과하다는 점이다. 5개 지자체의 인구는 늘고 있지만 쓰레기 발생량은 재활용률 증가 등으로 제자리걸음을 하고 있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소각로 2기 중 1기는 가끔 가동을 중단하는 일까지 벌어지고 있다.
이처럼 쓰레기 반입량이 줄면 자치단체들의 운영비 부담은 늘어나게 된다. 이 시설의 연간 운영비는 80억원 남짓인데, 쓰레기를 태워 발생하는 에너지를 팔아 30억원가량을 충당하고, 나머지 50억원은 각 자치단체가 쓰레기 반입량에 따라 분담한다.
특히 반입량의 20%(48t)를 차지하는 하남시의 경우, 미사택지개발지구에 하루 44t 규모의 생활쓰레기를 처리할 수 있는 소각장이 따로 들어서 이천 광역자원회수시설은 운영에 더욱 큰 타격을 입을 것으로 보인다. 하남시 반입량이 줄어듦에 따라 다른 자치단체의 운영비 분담률이 늘어날 수밖에 없는 구조다.
이에 이천시는 쓰레기 반입량 감소에 대비한 자구책으로 5개 자치단체 이외에 다른 지역의 쓰레기도 반입할 수 있도록 관련 조례 개정을 추진 중이다. 시 관계자는 “쓰레기로 전력이나 난방열 등을 생산해 팔게 되면서, 다른 지역에서도 쓰레기 소각장 운영에 나서고 있다. 이제는 자치단체들끼리 소각용 쓰레기 유치를 놓고 경쟁을 벌이는 국면”이라고 말했다.
김기성 기자 player009@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