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24일 저녁 ‘공유경제 창업기업 인큐베이팅센터’ 참가자들이 개소식을 열어 발전 방안을 논의하고 있다.
창업기업 돕고 전문가 상담 주선
정보 나눌 시민학교도 새달 시작
정보 나눌 시민학교도 새달 시작
부산의 시민단체가 이른바 ‘착한 소비’로 불리는 공유경제 기업가와 사업을 찾아 지원하는 기구를 열었다. 비영리 시민단체가 운영하는 공유경제 육성센터는 처음이다.
‘공유경제 시민허브’는 24일 저녁 공유경제 육성센터인 ‘공유경제 창업기업 인큐베이팅센터’를 열었다. 200여명의 시민으로 이뤄진 ‘공유경제 시민허브’는 지난해 11월 부산형 공유경제의 확산을 목표로 창립한 시민단체이다. 창업지원 기업인 콜즈다이나믹스가 제공한 부산시 부산진구 전포초등학교 근처 건물 2층에 사무실을 두고 있다.
강종수(35) 콜즈다이나믹스 대표는 “내가 가진 재능과 물품을 필요한 사람한테 나눠준다는 공유경제 문화가 확산되면 부산이 소통의 도시가 될 것으로 믿는다. 이곳이 착한 공유경제를 전파하는 허파 구실을 하길 바란다”고 말했다.
인큐베이팅센터는 공유경제 기업 종사자들이 정보를 교환하거나 서로 협력해서 새로운 사업을 모색하는 소통공간을 제공한다. 또 2~3년 전부터 한국에서 알려지기 시작한 공유경제에 대해 궁금해하는 시민들을 교육한다. 전문지식 부족으로 사업 아이디어를 창업으로 연결하지 못하는 예비 창업가에게는 세무사·대학교수 등 전문가들이 상담을 해준다. 공유경제 아이디어를 가진 시민이 상품화에 앞서 시험제품을 만들기 원하면 첨단 장비를 이용해 지원한다.
인큐베이팅센터는 다음달 기초·심화 과정으로 나눠 시민학교도 열 계획이다. 시민학교에선 공유경제 기업가 및 전문가들의 강의를 들은 수강생들이 공유경제 사업 아이디어를 함께 만들고 사업계획서를 짜거나 구체화한다.
부산시 출연기관인 부산경제진흥원의 황문성 지식서비스산업지원팀장은 “행정기관이 해법을 찾아야 할 일자리 창출 문제에 민간단체가 나서는 것을 보니 기대가 된다. 공유경제 확산을 위해 올해 편성한 예산 1억원 가운데 일부를 인큐베이팅센터에 지원할 방침”이라고 말했다.
서종우 ‘공유경제 시민허브’ 대표는 “부산형 공유경제가 뿌리내리기 위해선 공유경제 창업기업이 많이 생겨야 하고 행정기관이 주도하는 것이 아니라 민간이 주도해야 한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글·사진 김광수 기자 kskim@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