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일보·부산MBC·KNN 등
동해남부선 상업화에 발벗고 나서
“사업 참여 접고 막개발 감시해야”
동해남부선 상업화에 발벗고 나서
“사업 참여 접고 막개발 감시해야”
부산 시민사회단체들이 동해남부선 옛 철길(폐선 부지)의 상업화에 직접 참여하려는 지역 언론사와 부산시 쪽에 사업 포기를 촉구하고 나섰다. 그러나 해당 언론사들은 지역을 대표하는 관광상품으로 만들겠다며 물러서지 않겠다는 태도를 보이고 있다.
부산시민운동단체연대·부산여성단체연합·해운대시민포럼 등 부산지역 시민사회단체 10여곳이 참여하고 있는 ‘해운대기찻길 친구들’은 10일 부산시청 들머리에서 기자회견을 열어 “지역 신문·방송사와 부산시 공기업은 동해남부선 옛 철길의 상업개발에서 손을 떼라”고 요구했다.
이들 단체는 “지역 언론은 지역민과 함께 지역사회 문제를 감시하고 공론화해야 하는 책임이 있다. 상업개발을 반대하는 시민 여론을 반영하기는커녕 상업개발 사업에 주체가 되어 직접 참여하려는 것은 충격과 경악을 넘어 허탈과 분노를 자아내게 한다”고 밝혔다. 이어 “지금이라도 지역 언론사들은 동해남부선 옛 철길의 상업개발에서 손을 떼고 막개발을 우려하는 시민의 목소리를 반영해 상업개발 감시에 적극 나서라”고 촉구했다.
또 이들은 “부산교통공사와 부산관광공사는 지난달 28일 마감된 상업화 방안 공모에 참여했다. 한국철도시설공단이 위촉하는 심의위원 15명에는 부산시와 부산시의회 추천인사 6명이 포함된다. 부산시는 한국철도시설공단이 독자적으로 상업화를 추진했다고 밝힌 것에 대해 사과하고 개발사업 중단을 선언하라”고 주장했다.
윤일성 부산대 교수(사회학)는 “부동산 개발이 탐욕·불의와 공모했을 때 이를 감시하는 것이 언론 아니냐. 언론사가 부동산 개발에 나서는 것은 어처구니가 없다”고 말했다. 박정희 부산민주언론시민연합 사무국장은 “지역 언론의 경영이 어렵다는 것은 알고 있지만 논란이 일고 있는 사업에 선수로 뛰는 것은 넘지 말아야 할 선을 넘은 것이다. 지금이라도 공익 감시자로 돌아오라”고 촉구했다.
그러나 해당 언론사의 한 관계자는 “언론사라고 해서 무조건 개발사업에 뛰어들지 말라고 하는 것을 수긍하기 어렵다. 돈벌이가 목적인 민간 건설업체보다는 공공성을 지닌 언론사가 낫다고 생각한다. 제주 올레길보다 훨씬 좋고 자전거도 탈 수 있는 방안을 제시했다. 심의위에서 좋은 결과가 나오면 제안 내용을 공개할 것이다. 그것을 본 뒤에 판단해 달라”고 말했다.
한국철도시설공단은 동해남부선 해운대해수욕장 동쪽 끝 유람선 선착장 근처 미포~청사포~구덕포~옛 송정역 4.8㎞ 구간과 옛 해운대역 터의 상업개발을 추진하고 있다.
김광수 기자 kskim@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