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4 지방선거 부산시장 여야 후보들이 동해남부선 옛 철길의 상업개발을 반대하는 공약을 약속하는 협약서를 체결했으나, 상업개발을 막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이 분명하지 않아 논란이 일고 있다. 당장 한국철도시설공단이 공모한 민간사업 제안서에서 당선된 컨소시엄이 협약서가 상업개발 포기를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고 주장하고 있다.
권철현·김영춘·박민식·서병수·오거돈·이해성 등 6명의 부산시장 여야 예비후보들은 지난 13일 “부산시와 한국철도시설공단은 개발 계획을 철회하고 시민의 품으로 돌려주기를 요구한다”는 내용을 담은 공동공약 협약 ‘동해남부선 옛 철길 시민의 품으로’를 체결했다.
이에 대해 동해남부선 옛 철길 민간사업 제안서를 낸 6곳 가운데 지난 10일 한국철도시설공단 심의위원회에 의해 당선자로 확정된 ‘레일 앤드 스토리’ 컨소시엄은 “협약서가 공모 당선작의 기본 정신과 정확히 일치한다. 예비후보자들의 공동공약 체결을 환영한다”고 밝혔다. 이 컨소시엄은 옛 철길에 레일바이크(궤도자전거)가 달리고 철길 위 공중에서 전기로 이동하는 스카이라이더 등을 뼈대로 하는 제안서를 냈다.
상업개발을 하려는 컨소시엄이 상업개발에 반대하는 예비후보자들의 협약에 찬성하는 것은 협약서가 상업개발을 막기 위한 제도적 장치를 분명하게 제시하지 않았기 때문이다. 부산시장은 한국철도시설공단에 상업개발 철회를 요청한다고 협약서에 명시돼 있으나, 공단이 이를 거부하더라도 제재할 방안이 없다. 또 애초 협약서 원문에는 “옛 해운대역 터를 시민광장으로 만들고 80여년 된 옛 철길을 근대산업유산으로 등록하며 동해남부선의 출발지인 부전역~옛 송정역 22.5㎞를 명품 공원으로 만들겠다고 약속한다”고 되어 있었으나, 일부 예비후보의 요구로 ‘약속한다’가 ‘논의한다’로 바뀌었다.
동해남부선 옛 철길의 상업개발 반대 운동을 펼치고 있는 ‘해운대기찻길 친구들’의 관계자는 “애초 협약서를 15일 체결하려고 했으나 일부 예비후보들이 앞당기자고 해서 서두르다 보니 미흡한 부분이 있었다”고 말했다. ‘레일 앤드 스토리’ 컨소시엄 관계자는 “예비후보자들이 상업개발을 졸속으로 추진하는 것을 반대했지, 상업개발 자체를 분명히 반대하지는 않았다”고 말했다.
김광수 기자 kskim@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