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민단체 “도, 주민피해 해결 무시”
지사 예비후보들도 “차기로 넘겨라”
우근민 지사 “예정대로 허가” 재확인
지사 예비후보들도 “차기로 넘겨라”
우근민 지사 “예정대로 허가” 재확인
제주시 도심에 추진중인 높이 218m의 초고층 건물인 이른바 ‘드림타워’ 건설과 관련해, 시민단체 및 정치권의 반발이 거세다. 반면 제주도는 원칙대로 처리하겠다는 방침을 거듭 밝혀 갈등이 증폭될 조짐이다.
제주참여환경연대 등 제주지역 17개 시민사회단체로 구성된 ‘제주시민사회단체연대회의’는 14일 제주도의회 도민의 방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우근민 도정은 교통혼잡, 조망권·일조권 피해, 외관유리의 빛 반사 문제, 야간 건축물 조명 등으로 인한 주민 피해가 분명한 부분에 대해 제대로 진단하거나 심의하지 않고 있다”고 지적했다.
연대회의는 “드림타워 건설에 따른 교통문제는 제주도가 주장하는 우회도로 개설로 해결될 문제가 전혀 아니다. 중단 요구를 무시한 채 일방적으로 행정절차를 강행하면 가능한 모든 방법을 동원해 사업의 중지와 함께 이번 사태를 발생시킨 우 지사에게 책임을 묻겠다”고 밝혔다.
특히 6·4 지방선거에서 도지사 선거에 나서는 새누리당 원희룡 후보와 새정치민주연합 고희범 예비후보도 “현시점에서 건축허가를 서두를 이유가 없다. 건축허가 결정을 차기 도정으로 넘겨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러나 제주도의 입장은 단호하다. 우 지사는 이날 드림타워 건축허가 여부를 차기 도정으로 넘기라는 요구를 일축했다. 우 지사는 이날 기자간담회에서 도지사 후보들의 요구에 대해 “희한하다. 예의도 없다”고 원색적으로 비판했다.
우 지사는 “아무런 문제가 없다는 결론을 내렸는데도, 기한 안에 건축허가를 내주지 않으면 직무유기가 된다. 원칙대로 규정에 따라 처리하겠다”고 밝혔다. 그는 “드림타워는 1983년 허가가 났으나 투자가 안 돼 진전이 없다가 2009년 전임 도정 당시 63층으로 허가해 준 것이고, 20년 이상 타워크레인만 세워놓고 사업이 이뤄지지 않다가 30년 만에 투자자가 나타나 건축허가 과정을 밟고 있다. 그런데 무슨 의혹이나 특혜가 있는 것처럼 얘기하고 있다”며 불만을 표시했다.
도는 이날 비공개로 사전재난영향성 검토위원회를 열고 드림타워 건축허가에 따른 피난안전, 소방설비, 정보통신 등을 논의했다. 중국 뤼디(녹지)그룹과 동화투자개발은 제주시 노형동 터 2만3301㎡에 지하 5층, 지상 56층(연면적 30만6517㎡) 규모의 호텔(908실)과 콘도미니엄(1206실) 및 카지노 등을 짓는 드림타워 건설계획을 제출해 지난 2월 조건부로 건축·교통 통합심의를 통과했다.
허호준 기자 hojoon@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