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문화재 70호 일반매각 1차 유찰
시의회 승인으로 2차 응찰 예정
시의회 승인으로 2차 응찰 예정
부산의 대표적 근현대 문화유산인 한국은행 부산본부 옛 건물을 부산시가 사들이기로 했다. 이 건물은 부산시 문화재 자료로 지정됐으나, 일반에 매각 처분될 위기에 놓여 있다.
부산시는 24일 부산시의회 기획재경위원회로부터 옛 한국은행 부산본부 건물과 땅에 대한 공유재산 관리계획 변경계획안을 23일 승인받았다고 밝혔다. 시의회 기획재경위원회는 “건물 매입 금액은 예산을 절감할 수 있도록 해달라”고 주문했다.
한국은행 부산본부 옛 건물은 1963년 중구 대청동 조선은행 터 3473㎡에 지하 1층, 지상 6층으로 지어졌다. 시는 지난해 9월 이 건물의 역사적 보존 가치를 인정해 부산시 문화재 자료 70호로 지정했다. 문화재 자료로 지정되면 건물 재건축과 구조 변경을 할 수 없고, 건물 보수·정비 및 건물 바깥 색칠은 부산시 문화재위원회의 허가를 받아야 한다.
시는 이 건물을 보존하기 위해 한국은행 쪽에 무상 임대 또는 공동 운영안을 제의했으나, 한국은행은 한국은행법에 따라 무상 임대가 불가능하다고 밝혔다. 이에 시는 건물을 사들이기로 하고, 2012년과 올해 두 차례에 걸쳐 건물 매입안을 공유재산심의회에 상정했지만 예산 부족 등으로 통과되지 못했다.
결국 한국은행은 지난달 31일 옛 부산본부 건물과 땅을 177억2800만원에 매각한다는 공고를 냈다. 시는 지난 17일 시 공유재산심의회를 다시 열어 매입을 결정하고 시의회 기획재경위원회에 승인을 요청했다.
22일 이 건물의 1차 공매는 입찰자가 나서지 않아 유찰됐다. 시는 추가 입찰공고 때 적정한 가격이 제시되면 응모할 방침이다. 시는 이 건물을 부산 개항기 역사·문화·경제·생활 관련 박물관으로 조성할 계획이다.
시 문화예술과 관계자는 “일제강점기 수탈의 역사를 조명하는 근대역사관, 6·25전쟁 당시 부산 생활사를 보여주는 임시수도기념관 등 주변의 근현대 문화자원과 한국은행 건물을 연계하는 프로그램을 만들면 관광명소가 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부산/김광수 기자 kskim@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