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민단체, 동해남부선 상업화 의심
“지금까지 짜맞춘듯 추진” 공개 촉구
시 “공개하면 다른 논란 빌미 우려”
“지금까지 짜맞춘듯 추진” 공개 촉구
시 “공개하면 다른 논란 빌미 우려”
부산시가 동해남부선 옛 철길(폐선 부지)의 효율적인 활용을 위해 한국철도시설공단과 체결한 협약서에 딸린 부속 협약서 공개를 거부해 시민단체들의 반발을 사고 있다.
동해남부선 옛 철길의 상업개발을 막기 위해 꾸려진 ‘해운대 기찻길 친구들’은 13일 부산시청 들머리에서 기자회견을 열어 “부산시와 한국철도시설공단은 동해남부선 옛 철길의 개발과 관련해 체결한 협약서에 딸린 부속 협약서를 즉각 공개하라”고 촉구했다.
부속 협약서는 지난해 11월22일 부산시와 한국철도시설공단이 동해남부선 철도자산의 효율적인 활용 관리 협약서를 체결했을 때 함께 작성됐다. 당시 부산시와 한국철도시설공단은 본협약서만 공개했다. 본협약서엔 부산시와 한국철도시설공단이 동해남부선 옛 철길의 효율적 이용을 위해 상호 협력한다는 내용을 뼈대로 하는 조항 8개만 두루뭉술하게 나와 있다. 시민단체들이 부속 협약서 공개를 요구하는 것은 이 때문이다.
시민단체들은 문화재청의 등록문화재인 송정역사의 등록문화재 해제 등 동해남부선 옛 철길의 상업화를 위한 구체적인 방안이 부속 협약서에 포함된 것은 아닌지 의심하고 있다. 옛 송정역사와 선로, 승강장 등 송정역사 좌우 150m는 2006년 12월 등록문화재로 채택됐다. 등록문화재를 해제하려면 문화재청 허가를 받아야 한다.
김인환 부산시 시설계획과장은 “부속 협약서에 등록문화재인 송정역사를 해제한다는 내용은 없다. 부속 협약서 내용은 인터뷰와 간담회 등을 통해 이미 다 공개했다. 이제 와서 부속 협약서를 공개하면 또다른 논란의 빌미가 될 우려가 있다”며 부속 협약서 공개를 거부했다.
조용우 ‘동해남부선 폐선부지 활용 시민모임’ 공동대표는 “부산시와 한국철도시설공단은 동해남부선 활용 방안을 결정한 것이 없다고 했지만 지금까지 추진 과정을 보면 서로 입을 맞춘 듯하다. 어떤 교감이 있었는지 의구심이 든다. 떳떳하다면 부속 협약서를 공개해야 한다”고 말했다.
한국철도시설공단은 지난해 12월 폐쇄된 부산 해운대구 벡스코 앞 올림픽교차로~동부산관광단지 구간 11.3㎞ 가운데 옛 해운대역 2만6836㎡와 해운대해수욕장 동쪽 끝 미포에서 옛 송정역까지 4.8㎞ 구간의 상업화 방안을 공모해 레일앤드스토리 컨소시엄이 낸 사업제안서를 선정했다. 한국철도시설공단은 다음달 4일 지방선거가 끝나면 레일앤드스토리가 낸 사업제안서를 바탕으로 사업을 추진할 민간사업자 공모에 나설 계획이다.
김광수 기자 kskim@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