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누리 부산시당 “지역갈등 조장”
이명박 정부 때 무산됐던 동남권 신공항이 부산시장 선거의 쟁점으로 떠오르고 있다.
동남권 신공항과 관련해 먼저 날을 세운 쪽은 무소속의 오거돈 후보다. 오 후보는 최근 성명을 내어 새누리당의 서병수 부산시장 후보한테 “대구와 경북은 신공항 논의에서 빠질 것을 촉구하는 공동성명을 발표하자”고 제안했다. 동남권 신공항은 포화 상태에 이른 김해공항을 좀더 안전하고 24시간 운영할 수 있는 지역으로 이전하자는 취지에서 나온 것이기 때문에 대구와 경북은 동남권 신공항 논의에 참가할 자격이 없다는 것이다.
오 후보는 “대구와 경북에는 서 후보보다 힘이 센 실세가 많은데 어떻게 받아 오겠다는 것인지 구체적인 방법을 밝히라”고도 했다. 서 후보가 부산시장에 당선된다고 해서 이명박 정부 시절 무산될 때와 상황이 크게 바뀌지는 않을 것이라는 뜻이다.
서 후보를 대신해 새누리당 부산시당이 오 후보의 공격을 되받았다. 새누리당 부산시당은 “신공항 건설 문제는 치밀한 전략과 중앙정부와의 긴밀한 네트워크, 근처 자치단체들과의 협력이 무엇보다 필요하다. 오 후보의 제안은 동남권 신공항 문제를 지역갈등으로 몰아넣어 실패의 전철을 밟게 될 것이 자명하다. 가덕도 신공항 사업을 갈등의 늪에 휩싸이게 하지 말라”고 촉구했다. 이명박 정부 때 동남권 신공항이 무산된 것은 여당이 아니라 지역갈등 때문이었으며, 오 후보가 지역갈등을 조장해 동남권 신공항의 가덕도 유치를 더 어렵게 만들고 있다는 것이다.
동남권 신공항 건설은 이명박 전 대통령의 대선 공약이었다. 국토연구원이 2009년 부산 가덕도와 경남 밀양을 대상으로 타당성 조사 용역을 벌였으나 두 곳 모두 경제성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정부는 2010년 7월 각계 전문가 20명이 참여하는 입지평가위원회를 꾸려 계속 추진하다 2011년 3월 역시 경제성 등이 없다는 이유로 백지화했다. 하지만 낮은 경제성은 핑계일 뿐 부산과 대구의 갈등이 깊어지자 이명박 정부가 발을 뺐다는 분석이 지배적이다. 김광수 기자 kskim@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