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경필 경기지사의 제안으로 시작된 여야간 ‘경기도 연정’이 사실상 파탄 위기에 놓였다. 경기도의회 새정치민주연합 의원들이 사회통합 부지사를 거부하기로 결의했기 때문이다. 이들은 남 지사의 연정이 졸속으로 추진돼 실효성에 의문이 드는데다, 새정치민주연합 경기도당이 도의회를 배제한 채 일방적으로 추진한다며 집단 반발하고 있다.
경기도의회 새정치민주연합 소속 도의원 69명은 지난 25일 밤 남 지사가 제안한 사회통합 부지사 파견에 대해 의원 투표를 벌여 반대 41표, 찬성 25표, 기권 3표로 수용하지 않기로 의견을 모았다. 김종석 의원(부천6)은 “현행법상 제도가 불비한 상태에서 야당이 사회통합 부지사를 추천하는 것은 부적절할 뿐 아니라 실질적 역할에도 한계가 있다는 게 다수 의원들의 의견이었다”고 전했다. 윤은숙 의원(성남4)은 “미처 준비되지 않은 상태에서 도지사가 된 남 지사가 연정을 제안한 정확한 의도를 파악할 수 없고, 인사·예산권도 없는 허울뿐인 연정 참여는 졸속이라고 볼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연정 추진 주체에 대한 불만도 제기됐다. 이름을 밝히기를 꺼린 한 도의원은 “경기도정의 파트너는 경기도의회인데, 새정치민주연합 경기도당의 일부 국회의원들을 중심으로 남 지사와 연정을 협의하고 있다. 도의원들의 의견을 무시한 채 도당 중심으로 연정을 밀어붙이는 것은 도의원들의 의정 활동을 위축시키고 의원을 ‘졸’로 보는 행위”라고 말했다.
새정치민주연합 경기도당과 경기도의회 새정치민주연합 대표부는 일단 여야간 20개 정책합의를 기초로 연정의 틀은 유지하되 사회통합 부지사에 대한 도의원들의 의견은 조만간 새정치민주연합 경기도당(공동위원장 김태년 송호창) 정책위원회에 상정해 최종 결정하기로 했다.
오는 29일 남 지사와 경기도의회 여야 각 당은 경기도 산하 6개 기관에 대한 인사청문회 실시를 위한 의향서(MOU)를 체결하고 이 중 인사 사유가 발생한 경기도시공사와 경기개발연구원 등 4곳에 대해 다음주부터 인사청문회에 들어간다는 방침이다.
경기도의회 새정치민주연합 김현삼 대표(안산7)는 “야당에서 연정의 주체는 당이다. 그리고 사회통합 부지사는 부결됐지만 일단 냉각기를 가지고 지켜보면서 인사청문회 등 여야가 합의한 정책 협의는 기존대로 이어가겠다”고 말했다.
남 지사는 26일 긴급 기자간담회를 열어 “야당의 사회통합 부지사 추천이 없어도 연정은 계속 간다”고 말했다. 남 지사는 그러면서도 “새정치민주연합이 내부 이견을 보이는 상태에서 언제까지 기다릴 수는 없다”고 말했다. 야당의 내부 반대가 계속될 경우 남 지사도 적절한 시기에 발을 빼겠다는 뜻으로 풀이된다.
홍용덕 기자 ydhong@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