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강댐 물 부족’하다더니 ‘남는 물 있다면’ 황당 설문
‘새 다목적댐 찬성’ 유도 여론조사
설문자료 공개 요구하자 거부
환경단체 “항의 1인시위 준비”
‘새 다목적댐 찬성’ 유도 여론조사
설문자료 공개 요구하자 거부
환경단체 “항의 1인시위 준비”
다목적댐을 건설해 다른 지역에 식수를 공급하는 정책에 경남도민의 절반 이상이 찬성한다는 여론조사 결과를 경남발전연구원이 내놨다. 부산 등에 식수로 공급할 만큼 남는 물이 없다는 연구 결과를 발표한 지 하루 만이다. 경남발전연구원이 지리산댐 건설의 필요성을 뒷받침하기 위한 ‘맞춤형 연구’에 나섰다는 의혹이 깊어지고 있다.
경남발전연구원은 3일 ‘광역 식수정책 여론조사 결과’를 보도자료로 발표했다.
보도자료를 보면, ‘경남도에 남는 물이 있다면 타 지역과 나눠 먹는 정책을 어떻게 생각하느냐’는 질문에 응답자의 82%가 찬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 ‘새로운 다목적댐을 이용해 물을 공급하는 정책을 어떻게 생각하느냐’는 질문에 51.4%가 찬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조사는 서울의 여론조사 전문기관인 ㅁ사에 의뢰해 경남도민 2000명을 상대로 진행됐으며, 95% 신뢰수준에 표본오차 ±3.1이라고 경남발전연구원은 밝혔다.
하지만 전날 경남발전연구원은 ‘경남 진주시 남강댐 식수 공급 가능성 재평가 결과, 남강댐에서 하루 65만t의 식수를 부산 등에 추가로 공급하면 2.8년마다 진주 등 서부 경남에 물 부족 현상이 발생할 것으로 나타났다’며 현재 경남에는 다른 지역에 나눠줄 만큼 남는 물이 없다는 내용의 연구 결과를 발표했다. 따라서 ‘경남도에 남는 물이 있다면 타 지역과 나눠 먹는 정책을 어떻게 생각하느냐’는 질문은 할 필요가 없는 것이다. 게다가 새로운 다목적댐을 건설하는 것은 현 상태에서는 나눠줄 만큼 남는 물이 없다는 것을 전제로 하는 것이기에, 첫째 질문과 둘째 질문은 전혀 어울리지 않는다.
심지어 경남발전연구원은 여론조사 결과 분석에 반드시 필요한 설문지와 설문결과서를 보여달라는 취재진 요구를 “공개하기 어렵다. 이해해달라”며 거부했다. 이 때문에 경남발전연구원이 부산 식수 공급을 위해 논의가 시작된 지리산 다목적댐 건설의 필요성을 뒷받침하기 위해 ‘맞춤형 연구’를 하고 있다는 지적이 힘을 얻고 있다.
최세현 경남환경운동연합 공동대표는 “지리산댐 건설은 환경훼손 등의 문제 때문에 대다수 경남도민과 시민사회단체가 반대하고 있는 사안이다. 그럼에도 대권 도전을 꿈꾸는 홍준표 경남지사가 부산에 식수를 공급해 부산 유권자들의 표를 얻으려는 정치적 목적으로 이 사업을 추진한다면 전형적인 불통행정이 될 것이며, 이에 영혼을 파는 경남발전연구원은 존재할 이유가 없다. 지역 시민사회단체들과 함께 이에 항의하는 1인시위를 준비하겠다”고 말했다.
최상원 기자 csw@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